
北 김여정 직책 노동당 부부장.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유일한 여동생인 김여정이 노동당 부부장 직함으로 김정은 체제의 핵심 실세로 등장했다. [사진= 채널A 캡쳐]
'백두혈통'으로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의 정치적 영향력은 그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일한 여동생 김경희 노동당 비서가 남편 장성택의 처형으로 몰락하면서 생긴 공백을 얼마만큼 메울지도 관심사다.
◆김경희 공백 넘어 실세로
조선중앙통신은 27일 김정은 제1위원장의 4·26만화영화촬영소 방문을 수행한 김여정을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이라고 그의 직급 처음 공식 공개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김경희의 경우 백두혈통 공주 우대 차원에서 비중이 떨어지는 자리에 앉혔다면 김여정의 역할은 김경희와 본질적으로 다른 것 같다"며 "김여정은 김정은 1인 지배체제 구축의 중심에 서서 대중적 지도자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등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경희 비서가 당 경공업 근무를 시작했던 것과는 다른 행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또 김경희 비서의 공식 데뷔도 41세 되던 지난 1987년 당 경공업부장일 때였다. 현재 김여정의 나이는 27세다.
현재 그가 일하는 부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당 선전선동부나 여전히 김 제1위원장의 비서실장격인 서기실장 역할을 하고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그는 장성택 숙청 이전인 지난해 중반부터 최근까지 최고지도자와 그 직계 가족의 일상 생활을 주로 돌보는 노동당 서기실장 업무를 본 것으로 전해졌다.
노동당 서기실장의 대외 직함은 대부분 당 부부장 또는 제1부부장으로 불렸다.
그러나 이번 김 제1위원장의 4·26만화영화촬영소 방문 수행자가 김기남 비서 겸 부장, 리재일 제1부부장 등 모두 선전선동부 간부들이라는 점에서 김여정이 이 부서에서 일할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김정은 잠행 후 김여정 역할 두각
김 제1위원장이 건강상의 이유로 40여일간의 잠행을 깨고 지난 10월 14일 공개활동을 재개한 이후 김여정의 역할에서 변화가 보이고 있다.
김여정은 지난달 19일 김 제1위원장이 군부대 산하 수산사업소 현지지도에 동행, 처음으로 주요 생산시설 수행자 명단에 이름을 올림으로써 노동당 핵심 실세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최룡해의 경우도 김 제1위원장의 공식 활동 재개 이후 종전의 정치국 상무위원 직책으로 호명되면서 공식 서열도 황병서 총정치국장, 박봉주 총리를 모두 제쳐 김 제1위원장의 잠행 기간에 인사가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김여정이 김정은 제1위원장의 잠행 기간 선전선동부로 자리를 옮겼을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선전선동부는 최고영도자에 대한 우상화와 체제 선전, 주민에 대한 사상교육을 관장하는 부서로 조직지도부와 함께 노동당의 양대 핵심 부서다.
◆김정은 체제 국정 운영 핵심 실세
김여정이 어떤 업무를 하든 그의 공식 행보는 단순히 3대 세습체제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지위를 뛰어넘어 김정은 체제의 안정과 국정 운영의 핵심 실세로 역할하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27세인 김여정은 지난 4월 김정은 집권 이래 처음 치러진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 선거 투표 행사 때 최룡해·황병서·김경옥 등 김 제1위원장의 최측근 3인과 함께 그를 수행하며 권력무대에 공식 데뷔했다.
김여정의 정치적 위상이 이들 실세에 비해 뒤지지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김 제1위원장이 모친인 고영희를 공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부인 리설주와 더불어 김여정을 통해 부족한 정치적 리더십을 채우려고 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