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가 한빛원전 3.4호기 증기발생기 세관의 관막음 한계 비율을 기존 8%에서 18%로 대폭 올리는 방안을 승인하면서 불안감 커져. 특히 3년 전 관막음이 관재생보다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한 위원장이 말 바꾸기 했다는 논란까지 더해지면서 불신이 커지고 있어.
한빛 3호기 증기발생기 세관의 관막음 비율은 최근 2.7%, 3.9%로, 한빛 4호기는 4.9%, 5.3%로 점차 높아져.
원전 당국은 당초 세관의 균열을 막는 방식인 관막음과 보수하는 관재생 방식을 검토했지만 안전성이 더 크다는 이유로 관막음을 선택하고 기준치를 올려. 관막음 비율이 최근 급등하면서 허용 기준치를 넘을 가능성이 커져 기준치 상향이 불가피하다는 것.
주민들과 환경단체는 "한빛원전 증기발생기가 균열이 심각해지자 경제성만을 고려해 임시 대처에만 급급하다"며 "관막음과 관재생 어느 방식도 안전성을 확신할 수 없는 만큼 원전 가동을 즉각 중지하고 증기발생기를 교체해야 한다"고 요구.
●광주지하철 개통 후 승차권 43만개 분실…6억원에 달해
지난 2004년 광주 지하철 개통 후 11년간 일회용 승차권 43만개가 분실된 것으로 나타나.
광주시 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2003년 25만개, 2007년 18만2000개, 2013년 1만3000개, 지난해 5만개, 올해 1만5000개 등 모두 51만개의 일회용 승차권을 마련했으나 잔량은 7만8854개뿐.
최근 3년 평균 제작단가가 1400원인 점을 감안하면 사라진 43만개의 제작비는 6억원을 넘어서.
김민종 광주시의원은 "서울 등 다른 지역과 달리 일회용 승차권에 보증금이 없어 이용객이 반납하지 않는 사례가 많다"며 "특히 노인들은 발매 당일에만 유효한 우대권을 지속적으로 쓸 수 있는 것으로 착각해 보관하기도 한다"고 말해.
김 의원은 "교통카드 이용률을 높이고, 일회용 승차권에는 보증금 제도를 도입해 하차 후 승차권 반납 시 보증금을 돌려주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밝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