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최진성 종합기술원장(가운데)과 김영민 SM엔터테인먼트 대표(좌측), 공동 연구개발사인 헬로팩토리의 김경민 대표가 서울 삼성동 SM엔터테인먼트 본사에서 ‘IoT 레스토랑’ 서비스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제공-SK텔레콤]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레스토랑을 찾은 고객들이 테이블에 부착된 ‘비콘’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주문부터 대기시간 안내, 대기 중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소비까지 모든 것을 처리하는 ‘IoT 레스토랑’이 선보인다.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은 최진성 종합기술원장과 SM엔터테인먼트 김영민 대표, 공동 연구개발사인 헬로팩토리 김경민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 삼성동 SM엔터테인먼트 본사에서 IoT 레스토랑 서비스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IoT 레스토랑은 SM엔터가 최근 서울 청담동에 오픈한 복합외식 공간 ‘에스엠티서울(SMT SEOUL)’에 적용될 예정이며, 향후 ;에스엠티엘에이(SMT LA)’와 ‘에스엠티도쿄(SMT TOKYO)’ 등으로 확대된다.
IoT 레스토랑은 고객이 앉은 자리에 설치된 비콘벨(호출벨과 비콘이 결합된 형태)과 스마트폰을 블루투스로 연결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스마트폰으로 추천 메뉴는 물론 주문 후 음식 서빙 예상 시간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음식이 나오기까지 다양한 아이돌 동영상 콘텐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 사용자 이용 패턴을 추출해 개인별 선호 메뉴에 대한 프로모션은 물론 레스토랑을 찾았던 고객 개인별 이력과 멤버십과의 연계를 통한 맞춤 서비스 등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SMT SEOUL은 SM 엔터테인먼트 그룹이 지난 21일 오픈한 복합외식공간으로, 한식 및 전 세계 다채로운 요리 메뉴를 SM만의 스타일로 맛볼 수 있다.
비콘벨 및 솔루션 개발업체인 헬로팩토리는 SK텔레콤의 벤처육성 프로그램인 ‘T 오픈랩’ 출신 업체로, 이번 사업 참여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은 “SK텔레콤의 실내 위치 측위 기술과 비콘을 이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새로운 고객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은 최진성 종합기술원장과 SM엔터테인먼트 김영민 대표, 공동 연구개발사인 헬로팩토리 김경민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 삼성동 SM엔터테인먼트 본사에서 IoT 레스토랑 서비스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IoT 레스토랑은 SM엔터가 최근 서울 청담동에 오픈한 복합외식 공간 ‘에스엠티서울(SMT SEOUL)’에 적용될 예정이며, 향후 ;에스엠티엘에이(SMT LA)’와 ‘에스엠티도쿄(SMT TOKYO)’ 등으로 확대된다.
IoT 레스토랑은 고객이 앉은 자리에 설치된 비콘벨(호출벨과 비콘이 결합된 형태)과 스마트폰을 블루투스로 연결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SK텔레콤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 사용자 이용 패턴을 추출해 개인별 선호 메뉴에 대한 프로모션은 물론 레스토랑을 찾았던 고객 개인별 이력과 멤버십과의 연계를 통한 맞춤 서비스 등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SMT SEOUL은 SM 엔터테인먼트 그룹이 지난 21일 오픈한 복합외식공간으로, 한식 및 전 세계 다채로운 요리 메뉴를 SM만의 스타일로 맛볼 수 있다.
비콘벨 및 솔루션 개발업체인 헬로팩토리는 SK텔레콤의 벤처육성 프로그램인 ‘T 오픈랩’ 출신 업체로, 이번 사업 참여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은 “SK텔레콤의 실내 위치 측위 기술과 비콘을 이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새로운 고객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