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기누설'에서 녹두의 효능을 다룬다[사진=MBN 제공]
아주경제 정진영 기자 = 한국인의 힘 원천 밥, 약이 되게 먹는 법이 있을까?
종합편성채널 MBN은 22일 방송되는 '천기누설'에서 밥을 통해 건강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한다고 이날 방ㅅ혔다.
'천기누설' 제작진에 따르면 매일 먹는 밥만 바꿔도 비만, 고혈압, 당뇨 등 생활 습관병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특히 흰쌀밥을 대신해 녹두밥을 섭취하면 해독과 고혈압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
'푸른콩'이라는 뜻의 녹두는 콩과에 속하는 작물로 팥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알갱이의 크기가 팥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 녹두를 가장 손쉽게 즐기는 방법은 밥으로 먹는 것. 껍질이 단단한 녹두는 물에 3~4시간 정도 불려서 밥을 지을 때 활용한다. 이때 백미9와 녹두1의 비율로 넣고 물의 양은 일반 밥을 지을 때와 동일하게 맞춰주면 된다. 이 외에도 녹두죽, 녹두전, 녹두묵, 녹두즙 등 다양한 요리에 녹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날 방송에서 정세연 한의사는 "(녹두는) 혈액 속에 있는 독소를 해독해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며 "혈액이 탁해져서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면 혈압이 올라간다. 이때 녹두가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돕는다"고 설명한다.
또 "쌀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에 열량은 풍부하지만 필수 아미노산은 부족하다. 이때 녹두밥을 먹으면 라이신이나 뮤신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을 보충할 수 있다. 또 독소 배출에도 도움이 돼 해독과 고혈압을 다스리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과연 찬 성질의 녹두와 최고의 궁합을 자랑하는 식재료는 무엇일까. 찬 성질의 녹두를 체질이 냉하거나 위장이 냉한 사람이 먹을 경우 흡수율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마늘 무침을 섭취하면 이를 중화시켜 녹두가 가진 성분들을 오롯이 다 활용할 수 있다.
정 한의사는 "녹두는 성질이 냉하므로 위장이 냉하거나 체질이 냉한 사람들이 계속 섭취할 경우 복통이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며 "이 경우에는 녹두의 양을 제한해서 먹는 것이 좋다. 또 한약을 섭취하고 있을 때는 녹두가 강한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녹두나 녹두밥의 섭취를 삼가는 게 좋다"고 주의할 점도 이른다.
녹두의 효능으 다루는 '천기누설'은 22일 오후 9시 40분에 전파를 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