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2일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회의실에서 37개 기관·단체의 청렴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청렴실천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청렴실천협의회’는 청렴한 인천을 만들어 가기 위해 인천상공회의소, 대한노인회 인천시연합회 등의 사회단체와 시의회, 교육청, 군·구,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의 장으로 구성된 공동협력체다.
이날 회의에서는 각 기관별 부서의 장으로 구성된 협의회 위원들이 참석해 각급 기관에서 추진 중인 청렴시책을 공유하고, 청렴실천 결의를 통해 청렴문화 확산에 뜻을 모았다.
또한, 차세대 글로벌 인재를 양성해 인천발전에 기여하는 인천글로벌캠퍼스에서 개최해 인천이 세계적인 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청렴한 사회가 기본임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그 의미를 더했다.
한편, 시는 이날 회의에서 인천시의 청렴수준과 정부의 청렴정책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시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청렴한 인천을 위한 3대 전략『청렴생태계 조성, 부패위험 제거 개선, 청렴문화 정착』과 10개 추진과제의 추진현황을 소개했다.
전략별로 살펴보면 첫째, 청렴생태계 조성을 위해 청렴정책 참여를 확대하고자 고위공직자의 부패위험성 진단 및 청렴 릴레이 기고, 청렴활동 성과평가 반영, 청렴대책 추진상황 보고회, 청렴리더 제도를 운영했으며, 청렴거버넌스 운영을 위해 시민감사관 제도 운영, 공동주택관리 청렴실천 협약, 청렴소방정책 자문단 등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둘째, 부패위험 제거 개선을 위해 인천형 4대 백신 프로젝트인 자율적 내부통제제도, 정보 상시 공유·연계를 통한 시스템 감사, 문제해결형 정책감사,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컨설팅 감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제도개선 권고과제 및 부패영향평가 개선과제 이행, 시민만족도 향상을 위한 청렴해피콜 운영, 인사청탁자 공개, 공무원행동강령 운영 내실화 등을 통해 부패의 사전 차단에 노력하고 있다.
셋째, 청렴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전 직원의 청렴교육 의무 이수 확행 및 인천시 특성에 맞는 청렴전문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공직자부조리신고센터 및 공익신고자 보호 및 복지보조금 부정신고 활성화 등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매월 7일에는 청렴퀴즈 및 청렴주의보 발령, 시청 각 부서에서 부서장을 중심으로 청렴소통의 날을 운영해 부패행위 근절과 청렴의지 확립을 위한 소통의 시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소통과 공감의 참여하는 청렴시책을 추진하는 한편, 매일 퇴근시 청렴송 방송, 청렴통화연결음, 라디오 청렴캠페인 등을 실시해 대시민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홍보활동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정중석 시 감사관은 “지금 인천시는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부패를 근절해 시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인천을 구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공직사회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청렴문화가 확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천시민과 공무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며, 또한 인천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청렴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