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들 뿔났다’…한국화주협의회, 對정부·한진해운 건의문 채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9-07 16: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수출기업 애로해소 촉구

한국무역협회가 7일 오후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호텔에서 한국화주협의회를 개최한 가운데 김인호 회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무역협회 제공]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 촉발된 수출기업의 물류애로 해소를 위해 수출기업들이 건의문을 채택했다.

한국무역협회는 7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호텔에서 한국화주협의회를 개최하고 정부와 한진그룹의 즉각적인 대책을 촉구했다.

한국화주협의회는 수출입 화주의 권익을 옹호, 증진하기 위해 한국무역협회에 설치된 기구로, 김인호 무역협회 회장과 김정관 부회장이 화주협의회의 회장과 부회장을 겸임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서비스물류발전위원회와 기업경쟁력강화위원회 합동으로 열린 이날 협의회에는 김인호 회장과 김정관 부회장을 비롯해 오석송 메타바이오메드 회장(서비스물류발전위원장), 박정부 한웰 회장(기업경쟁력강화위원장) 등 화주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건의문에서 해외 항구와 선박에 묶여 있는 국내 무역업체들의 화물이 당장 정상 운송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특히 억류 화물에 대한 직접적이고도 즉각적인 실효적 지원을 통해 수출기업이 납기 지연, 클레임 제기, 바이어 이탈, 도산으로 이어지는 최악의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힘써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협의회는 대체 투입된 13척(미주 4척, 유럽 9척)의 선박은 사태를 수습하기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선박의 추가 투입으로 운송차질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선박 및 화물 정보를 공유해 중소 무역업체들이 항만 현황, 화물의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대응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건의했다.

협의회는 물류대란의 재발 방지를 위한 물류 대응 시스템의 구축도 주문했다. 수출입 기업의 물류차질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사전에 파악, 상시 대응할 수 있도록 범정부적 대응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인호 한국화주협의회 회장은 “한진해운 사태가 최악의 상황으로 빠져들기 전에 시장의 흐름에 따라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이 이뤄지지 못해 안타깝다”면서 “사태가 확대된 만큼 이제라도 정부와 한진해운의 시의적절한 노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무역협회는 ‘수출화물 물류애로 신고센터’와 트레이드콜센터(1380)를 통해 화주들의 피해사례를 24시간 접수하고 있다.

한편 해운산업의 법적 이슈에 전문성을 지닌 한국해법학회도 한국선주협회와 함께 이날 오후 ‘한진해운 물류대란 법적 쟁점 긴급 좌담회’를 열고 한진해운 법정관리 신청으로 야기된 물류대란의 법적 쟁점을 논의했다.

김인현 해법학회장(고려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최세련 명지대 교수, 이종민 인터오션 대표, 김창준·권성원 변호사 등 해운법 전문가들이 좌담회 패널로 참석해 대형 국적선사의 법정관리라는 초유의 사태 현실을 파악하고 공익적인 관점에서 방향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