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유엔주재 美대사 “북한 압박 위해 모든 도구 사용할 의지 있어” (종합2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0-09 18: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판문점 방문 및 황교안 총리 면담…북한 인권문제에 관심 표명

아주경제 박준형 기자 = 한국을 방문한 서맨사 파워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9일 북한 압박을 위해 모든 도구를 사용할 의지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파워 대사가 이날 판문점을 방문하고 황교안 국무총리를 만난 데 이어 성명까지 발표하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국제사회의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파워 대사는 방한 이틀째인 이날 서울 용산구 남영동 주한미국대사관 공보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명을 통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을 압박할 수 있는 한 가지 도구이긴 하지만 미국은 이를 다루기 위해 모든 도구를 사용할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파워 대사는 “여기(도구)에는 전 세계적으로 우리가 동원하는 (북한에 대한) 외교적 압박도 포함돼 있다”며 “우리의 도구에는 미군이 제공하는 억제력도 있으며 오늘 DMZ(비무장지대)에서 직접 이를 목도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에 대한 외교적 압박에 대해 “다른 국가들이 북한을 고립시키도록 설득하는 것”이라면서 “이런 외교적 노력의 효과를 보고 있는데 무기프로그램을 진보시키기 위해 특권을 남용한 북한 외교관들을 추방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의 위협은 한미뿐 아니라 국제질서의 근간을 위협하는 것”이라며 “이런 위협을 다루는 데 있어서 한국과 나란히 할 결의를 갖고 있고 우리의 결의는 흔들림이 없으며 우리의 의지는 철갑 같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파워 대사는 이날 오전 탈북민 정착교육 기관인 경기 안성의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을 방문, 탈북민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그는 “국제사회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잘 알고 있으며, 이런 어둠에 빛을 비추기 위해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와 유엔은 북한 정권의 변화와 북한 주민들의 인권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나원 방문 이후 파워 대사는 판문점을 공개 방문했다. 당초 그는 성명을 발표하고 강력한 대북 경고 메시지를 발신할 예정이었지만 일정을 돌연 취소했다. 이는 북한 노동당 창건일(10일)을 하루 앞두고 도발의 위험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그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와 면담도 진행하고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방안 등을 논의했다. 황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박근혜 대통령께서 파워 대사가 유엔 차원의 북핵 대응에서 많은 노력을 하신 점에 관해서 치하의 말을 전해달라는 말씀이 계셨다”면서 “앞으로도 대북제재라든지 국제 공조에 있어 적극적인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파워 대사는 “뉴욕의 한국대표부와 더불어 올해 핵실험 이후부터 지금까지 가장 적합한 제재를 결정하기 위해서 함께 협력했다”며 “사실 3월에 통과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2270호에 담긴 주요 규정은 한국에서 받은 아이디어가 담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애석하게도 (대북제재가) 북한 체제의 불법 행동에 관해서 북한의 변화를 만들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김형석 통일부 차관과 티타임을 통해 북한 주민 인권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그는 다음날인 10일에도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 등 우리 정부 고위 당국자들과 잇따라 만나 대북제재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주재 미국대사의 방한과 판문점 방문은 상당히 이례적으로, 북한 인권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면서 향후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가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한 제재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 특사도 10~13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미 국무부는 킹 특사가 방한 기간 한국의 고위 당국자들을 만나 북한 인권 문제를 비롯해 양자간 및 지역 이슈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브리핑하는 서맨사 파워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