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조원 KAI 사장이 1일 경남 사천 KAI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국내 최초로 항공기 MRO(정비) 사업을 민간 분야에서 준비 중이다. 늦어도 내년 1월까지는 결론이 난다"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은 지난 1일 경남 사천 KAI 본사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사장은 "2020년 이면 국내 영공을 우리 전투기로 지킬 날이 온다"라며 "조금 부족한 부분이 정비와 부품 산업인데, 정부에서 힘을써서 곧 MRO 사업을 KAI가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MRO는 항공산업과 부품산업의 국산화를 가속화시키는 첫 걸음"이라며 "저비용항공사(LCC)가 해외에서 부품을 조달하고 정비하던 것을 국내에서 함으로써 안전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MRO 사업에는 지난해 KAI-사천시와 아시아나항공-청주시 컨소시엄이 참여한 바 있다. 하지만 아시아나항공은 자금여력과 수익성을 검토할 결과 최종적으로 사업을 포기하고 현재 KAI만 사업보고서를 제출했다.
김 사장은 부임 한 달도 채 안돼 한국형 헬기인 수리온의 납품 재개를 이끌었다. 다음 과제로 종합 항공기 제조업체를 지향하는 KAI의 숙원과제인 MRO를 성공시키겠다는 각오다.
KAI는 이미 사천 본사내 31만m2의 MRO 부지를 확보한 상태이며, 제2공장에서는 군용기 개발과 정비 사업을 하고 있다.
김 사장은 "MRO는 국가적 사업으로 당기순이익을 내기 위한 사업이 아니다"라며 "정부에서도 지분을 20% 참여했고, KAI 가 60%, 민간기업이 20%를 참여한 사업이다"라고 사업의 취지를 밝혔다.
그는 "MRO 사업을 시작하면 KAI에서만 일자리가 1000개가 발생한다"라며 "항공우주산업은 앞으로 고급 일자리가 수만개 파생될 수 있는 첨단산업이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항공우주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 전담 조직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항공과에서 맡고 있지만, 전담조직으로서 역할을 하기에는 인력이나 자원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그는 "항공우주산업은 모든 것이 처음 시작하는 영역으로 정부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그동안 제기됐던 KAI의 방신비리와 분식회계에 대해서는 "조직적인 부정을 한 회사가 아니다"고 답했다.
그는 "직원들이 그동안의 관행으로 이뤄진 것을 놓고 마치 KAI가 대단한 분식을 한 회사로 봐서는 안된다"며 "주가와 신용 등이 회복된 것은 KAI가 투자자에 위험을 미칠 행동을 했거나, 위험을 미칠 예정인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금융당국에서 잘 판단해줄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