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26일 사평을 통해 북·미 정상회담의 결과를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이번 회담의 가장 이상적인 결과는 미국에게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고, 북한에겐 ‘경제 제재의 철폐’지만 불행하게도 이 두 시나리오 모두 비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사평은 “북한의 핵 시설 폐기·검증과 미국 측의 상응 조치에 있어서 입장차를 좁히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면서 “양측은 모두 이전 입장을 뒤엎기 어렵고, 협상은 결국 난관에 부딪힐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평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비핵화를 약속한다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실질적이고 확실한 이정표를 가지고 북한과 약속하지 않는다면 북한은 이를 믿을 수 없을 것”이라며 “북한은 안보를 보장받고, 핵 능력을 대체할 수 있는 명확한 미국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평은 “북한은 경제 개혁에 두 소매를 걷어 붙였지만 미국이 경제 제재를 완화하지 않으면 어떤 것도 진전될 수 없다”며 “미국의 낡은 이념이 북한과 아시아의 진보를 가로막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사평은 “대북제재 완화 과정에서 미국은 정치적 문제에 직면할 것이지만, 유엔 안보리와 한국 등을 통한 다양한 방법으로 대북제재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은 좀 더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북제재 완화 방안을 유연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를 환영하면서도, 협상 결과는 어둡게 전망하고 있다. 앞서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이번 회담에서 북한과 미국은 최대 의제인 비핵화 관련 개념과 방식, 절차 문제 등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신화통신은 “비핵화는 매우 복잡한 문제고, 실질적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넘어야할 장애물이 많다”며 그 장애물로 신뢰부족, 편견, 자국 분위기 의식 등을 꼽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