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이 전국에서 유치원 개학 연기 투쟁을 실시하겠다고 선포한 가운데, 개학을 연기하는 유치원이 정부가 발표한 164곳보다 더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인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부는 앞서 지난 1일 전국적으로 약 164곳이 개학을 연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는 한유총이 주장한 2273곳의 9% 수준으로 우려했던 유치원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2일 발표된 지자체별 유치원 개학 연기 현황을 보면 ‘무응답’ 유치원이 많아 정부 집계보다 더 많은 유치원이 문을 닫을 수 있는 상황이다. 정부가 발표한 164곳은 조사과정에서 개학을 연기한다고 밝힌 곳이다.
한유총의 파업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강경하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관계부처·지자체 합동회의를 열고 한유총의 개학 연기 투쟁에 대해 "즉각 철회하라"며 "개학 연기를 강행하는 사립유치원에 대해 법령에 따라 엄정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한유총은 정부의 강경대응을 비판하며 교육부에 거듭 대화를 촉구하고 있다. 한유총 측은 "개학일자 결정이나 학사일정 조정은 '법률에 보장된 사립유치원 운영권'"이라며, 이를 불법으로 호도해 협박하는 것은 직권남용과 협박죄라고 주장한다. 한유총은 오는 3일 오전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자세한 입장을 밝힐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