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2금융부터 '위험 신호'…연체율 상승세


지방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대출 연체율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만큼 연체자들이 장기적으로 부채의 굴레에서 벗어나도록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KB국민카드 등 주요 7개 카드사의 올해 1분기 연체율(대환대출 포함)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0.01~0.35%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저소득·저신용층이 급전을 위해 활용한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를 제때 갚지 못하는 비율이 높아졌다는 뜻이다.

지방은행도 가계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올랐다.

2017년 말 대비 지난해 말 지방은행별 가계 부문 연체율(원화대출금 및 신탁대출금 합계)을 보면 경남은행은 0.15%에서 0.39%로, 광주은행은 0.16%에서 0.28%로 올랐다. 대구은행과 부산은행, 제주은행도 각각 0.20%→0.26%, 0.28%→0.43%, 0.16%→0.24%로 상승했다.

보험업권에서도 계약을 스스로 해지하거나, 보험료 납입을 못 해 강제로 해지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 연체율 반등이 실물경기지표의 악화나 소득 양극화 등과 맞물릴 경우 자영업자, 저신용·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부실이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며 "신용이 낮은 사람들을 주로 상대하는 저축은행 등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