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판문점 깜짝 회담'이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를 통해 제안해 성사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6일 한미 외교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6월 말 미국 고위 관료를 평양으로 파견해 김 위원장에게 친서를 전달했다"며 "친서에는 방한 기간 판문점을 방문할 때 김 위원장과 회동을 하고 싶다는 내용이 포함돼있었다"고 보도했다.
이어 아사히는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미국 고위 관료에게 북한 측에 김 위원장이 회동 제안에 응할 경우 사전에 '신호'를 보내도록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올리자 북한이 이례적으로 빠른 반응을 보였고, 이것이 북한 측의 '신호라는 게 아사히의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판문점 회동 전날인 지난달 29일 판문점에서 김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는 내용의 글을 자신의 트위터에 올리자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즉각 "조미(북미) 수뇌 상봉이 성사된다면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따라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가 같은 날 밤 판문점에서 북한 측과 회동 진행 방식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회담에서 트위터를 언급하면서 김 위원장에게 "즉각 응해줘서 감사하다"고 말했고 김 위원장은 "어제(29일) 아침에 회동에 대한 의향을 알고 놀랐다"고 했다. 재선을 앞두고 김 위원장과의 관계를 강조하고 싶어하는 트럼프 대통령과 제재 완화를 위해 정상 간 협의의 틀을 유지하려는 김 위원장의 노림수가 일치했다고 아사히가 분석했다.
아사히는 두 정상이 개인적인 신뢰관계에 기초한 전격적인 회동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이런 내막이 숨어 있었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을 언급하며 "지금 우리는 아주 좋은 관계다. 우리는 많은 것을 해냈다. 무슨 일이 있을지 지켜보자"고 말했다.
지난달 30일 있었던 김 위원장과의 '판문점 회동'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통해 북·미 실무협상 재개에 합의한 만큼 이르면 이달 중 열릴 실무협상 진행 상황을 주시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6일 한미 외교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6월 말 미국 고위 관료를 평양으로 파견해 김 위원장에게 친서를 전달했다"며 "친서에는 방한 기간 판문점을 방문할 때 김 위원장과 회동을 하고 싶다는 내용이 포함돼있었다"고 보도했다.
이어 아사히는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미국 고위 관료에게 북한 측에 김 위원장이 회동 제안에 응할 경우 사전에 '신호'를 보내도록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올리자 북한이 이례적으로 빠른 반응을 보였고, 이것이 북한 측의 '신호라는 게 아사히의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판문점 회동 전날인 지난달 29일 판문점에서 김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는 내용의 글을 자신의 트위터에 올리자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즉각 "조미(북미) 수뇌 상봉이 성사된다면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따라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가 같은 날 밤 판문점에서 북한 측과 회동 진행 방식을 논의했다.
아사히는 두 정상이 개인적인 신뢰관계에 기초한 전격적인 회동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이런 내막이 숨어 있었다고 재차 강조했다.

판문점서 악수하는 트럼프와 김정은 [사진=AP·연합뉴스]
지난달 30일 있었던 김 위원장과의 '판문점 회동'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통해 북·미 실무협상 재개에 합의한 만큼 이르면 이달 중 열릴 실무협상 진행 상황을 주시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