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시진 환구시보 편집장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내가 알기로는 중국은 오사카 정상회담에서 양측이 도달한 합의를 존중해 추가 관세에 대한 일부 연기가 아닌, 전면적인 철폐를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어 후 편집장은 “중국이 현재 상황에서 미국 농산물의 대량 구매를 재개할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관세를 연기한 것에 대해 중국이 만족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다.
앞서 13일(현지시간) 미국 무역대표부(USTR)은 9월로 예정됐던 중국산 휴대전화, 랩톱(노트북), 비디오게임기, 장난감 등에 대한 관세 적용 시기를 오는 12월15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8/15/20190815113834268610.jpg)
중국의 류허 부총리(오른쪽)와 미국의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 대표(왼쪽 두번째),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왼쪽)이 양국 간 고위급 무역협상을 하기 위해 7월 31일 중국 상하이의 시자오(西郊)빈관에서 만났다. [사진=AP·연합뉴스]
후 편집장의 발언 역시 이를 충분히 파악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고 해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정부의 이번 조치가 1년 넘게 이어져 온 미·중 무역갈등을 해결하는 주요한 진전의 신호로는 볼 수 없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