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김성원의원실제공]
이번 기자회견은 정부의 연천지역 모든 돼지에 대한 수매 및 살처분 정책을 규탄하고 합리적 보상대책 마련을 주문하기 위함이다.
김 의원은 “ASF에 감염된 멧돼지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정부가 접경지역 인근 야생멧돼지를 모두 없애기로 했다.”면서, “하지만 돼지열병 발병 4주가 지난 후에야 내려진 조치라며 정부의 대처가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ASF 발생이 우려될 때부터 멧돼지를 통한 감염을 막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었다.”면서, “환경부, 국방부, 농림부의 오락가락 대응으로 확산된 ASF는 정부부처간 불통이 불러일으킨 인재(人災)다.”라고 성토했다.
대한한돈협회 역시 기자회견을 통해 환경부가 야생멧돼지 발생의 책임을 지고 전국 야생멧돼지 박멸계획을 즉각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정치권에도 ASF 피해농가의 실질적인 생계보장과 재입식을 위한 법제화를 통해 농가보호와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인 노력에 앞장서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자유한국당이 구성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책TF’ 부위원장으로서 활동하며, ASF 발병초기부터 확산방지는 물론 양돈농가 및 인근 주민들을 위한 현실적인 피해보상대책 마련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