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동조 단식 강경투쟁 모드…"우리가 황교안"

  • 강경투쟁 기류…'패스트트랙 협상 무용론'도 제기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단식 8일차에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사태가 발생하자 한국당이 이를 동력으로 강도 높은 대여 투쟁에 나섰다.

정미경·신보라 최고위원은 전날인 27일부터 릴레이 단식에 나서는 등 한국당 내 강경 기류에 힘을 보태고 있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이날 패스트트랙 법안을 원천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며 협상보다는 강경 투쟁 노선을 택했다.

나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명분도 동력도 모두 사라진 낡은 탐욕"이라며 "황교안 대표의 단식은 끝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불법 패스트트랙 폭거를 멈추고 공존과 대화의 정치를 복원하라. 칼을 내려놓고 대화의 장으로 나오라"고 말했다. 이는 '선거법 개정안과 공수처 설치법안의 패스트트랙 철회'가 협상의 전제 조건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나 원내대표는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패스트트랙의 모든 단계가 불법이라 그런 부분을 걷어내야 진정한 협상이 된다"며 "여당이 청와대 뜻을 받들어 추진하는 것이라 대통령이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조 단식에 들어간 정미경·신보라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황 대표가 단식을 하며 힘든 모습을 보고 동참하게 됐다"고 동조 단식의 배경을 밝혔다. 또 이런 동조 단식이 '우리가 황교안이다'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길 당부했다.

특히 직접 단식에 나서본 이들은 "추운것도 그런데 굉장히 여기 소란스러워서(잠을 잘수가 없다)"라며 황 대표가 당시 힘든 투쟁을 했다고 공감을 보였다.

다만 강경론이 지배하면서도 당내 패스트트랙 '협상론'도 일부 나오고 있다. 강석호 의원은 BBS 라디오 '이상휘의 아침저널'에서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을 고리로 선거법도 협상을 통해 해결이 잘되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는 앞서 '공수처법 수용, 선거법 저지'를 위해 여당과 협상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자유한국당 정미경(왼쪽)·신보라 최고위원이 28일 오전 청와대 앞 황교안 대표 단식농성장에서 동조 단식을 하고 있다. 황 대표는 단식 8일째인 전날 밤 의식을 잃고 신촌 세브란스병원으로 옮겨졌으며, 현재 의식을 회복한 상태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