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데 안터져요" 5G 소비자불만 2000건 중 절반이 품질 불만

  • 한국소비자연맹, 5G 상용화 후 민원 조사결과 공개

  • 계약해지 불만·계약 불완전 이행 등...비수도권에 이용자 불만집중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G 서비스가 상용화한지 1년이 지났지만 품질에 대한 이용자 불만이 여전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지난해 4월 5G 서비스가 상용화된 이후 1년 간 한국소비자원의 1372 소비자상담 센터에 5G 관련 민원이 총 2055건이 접수됐다고 12일 밝혔다.

이 중 계약해지가 702건(34%)으로 가장 많았고, 품질 불만이 590건(29%)으로 뒤를 이었다. 계약해지는 품질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이동통신사에 계약해지를 요구한 건이다. 이동통신 3사는 이에 단순변심으로 인한 계약해지로 간주해 위약금을 부과한다. 사실상 품질불만이 5G 관련 민원의 절반을 차지한다.

계약 불완전이행으로 접수된 상담사례도 많았다. 일부 유통점에서 단말기를 공짜로 준다거나 불법 보조금 제공을 약속한 후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5G 고가요금제에 혜택을 집중하다보니 요금제 관련 민원도 전년대비 올해 3.9% 증가했다.

서울과 경기도에 집중된 기지국 인프라 탓에 비수도권 지역 이용자의 불만이 특히 많았다. 올해 3월 기준 전체 기지국 수 가운데 약 45%가 서울·경기에 몰리면서다. 실제 지역별 소비자불만 접수건수를 보면 지난 1년 간 서울은 147건(25%), 비서울 지역은 443건(75%)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5G 서비스가 세계 최초의 타이틀을 달고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는 많은 소비자들이 5G 통신환경이 부족함에도 기꺼이 고가요금제에 가입했기 때문"이라며 "이제는 정부와 이동통신사가 품질을 높이고 통신 서비스에서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