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0/13/20201013123613270734.jpg)
전대진 스토리위즈 대표가 13일 오전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계획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차현아 기자. ]
스토리위즈는 13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향후 사업계획과 비전을 소개했다. 스토리위즈는 올해 2월 KT에서 분사해 설립한 웹툰·웹소설 기반의 콘텐츠 전문기업으로, 웹 소설 연재 플랫폼 '블라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날 스토리위즈는 100억원을 투자해 IP기획부터 제작, 유통지원, 작가 육성 등으로 이어지는 제작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웹툰과 드라마, 영화 등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한 슈퍼 IP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스토리위즈는 할리우드식 집단창작 시스템을 웹소설 분야에도 도입한다. 집단창작 시스템은 데이터분석과 기획, 집필, 교정 등 웹 소설 창작에 필요한 요소를 세분화한 것이다.
스토리위즈는 해외 콘텐츠 시장도 공략한다. 현재 스토리위즈는 일본 현지에서 인력을 직접 채용해 콘텐츠를 유통·제작하고 있다. 내년 중에는 일본 현지에 별도 법인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며, 미국과 프랑스, 태국, 인도네시아와도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0/13/20201013142245894590.jpg)
전대진 스토리위즈 대표가 13일 오전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계획을 소개하는 모습. [사진=KT 제공 ]
스토리위즈가 콘텐츠 IP 제작기반을 다지는 이유는 통신 기반 플랫폼 사업자로 성장하려는 KT그룹의 콘텐츠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다.
KT그룹은 이미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OTT) 시즌과 IPTV 서비스인 올레tv, 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의 스카이tv 등 미디어 플랫폼을 다양하게 확보한 상태다. 스토리위즈가 창작 스튜디오와 소속 작가들의 오리지널 콘텐츠 IP를 제작하면, 영화와 드라마 같은 다양한 콘텐츠로의 재가공(One Source Multi Use)과 같은 시장 유통은 KT그룹이 맡게 된다.
전대진 스토리위즈 대표는 "구현모 KT 사장 취임 이후 첫 분사 사례가 스토리위즈"라며 "그만큼 구 사장의 관심과 지원, 애정이 많다"고 말했다.
전 대표는 스토리위즈를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3~4년 이내에 기업상장도 계획하고 있다"며 "KT그룹의 역량에 스토리위즈의 창의성을 더해 KT그룹의 기업가치 제고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0/13/20201013142032101757.jpg)
[사진=KT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