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출 10.3%↓…효자 품목 반도체 부진에 '휘청'

  • 대기업 무역집중도는 역대 최저

사진은 16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선이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수출 핵심 품목인 반도체의 부진으로 대기업 수출액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크게 줄었다.

18일 통계청과 관세청이 발표한 '2019년 기준 기업 특성별 무역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액은 5412억달러로 전년 대비 10.3% 감소했다. 수출 감소세는 대기업이 컸다.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인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기업과 공기업 등을 포함한 대기업 857곳의 수출액은 3478억달러로 전년 대비 13.5%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래 가장 높은 감소율이다.

중견기업의 경우 수출액이 4.6%, 중소기업은 3.5% 각각 감소했다. 정부는 지난해 나빠진 반도체 업황 때문에 반도체를 비롯한 자본재 수출 모두 감소하며 대기업의 수출액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했다.

대기업에 쏠린 무역 집중도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

지난해 수출액 기준 상위 100대 기업이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한 비중은 63.7%로 전년 대비 2.7%포인트 줄면서 관련 시계열이 있는 2010년 이래 가장 낮았다.

상위 10대 수출 기업의 무역 집중도는 34.6%로 2016년(33.9%) 이후 3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 기업 수는 9만7418개로 전년보다 1.2% 늘었다. 평균 수출 품목 수는 5.8개로 역시 관련 시계열이 있는 2010년 이후 가장 많았다.

산업별로 보면 전기·전자(-17.4%)와 석유화학(-7.7%) 등 주력 산업 수출액이 줄어든 영향으로 광제조업 수출액이 전년 대비 10.4% 감소했다. 도·소매업(-10.0%)과 기타산업(-9.8%) 수출액도 함께 줄었다.

국가별로는 중국에서 특히 수출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반도체 수출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국내 대기업의 대중 수출액은 전년 대비 20.5% 급감했다. 지난해 수입액은 4955억달러로 전년보다 6.4% 줄었다. 수입 기업 수는 19만2791개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