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마스터플랜도 [사진=인천시 제공] ·
3일 시에 따르면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기본계획은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5년 단위 법정계획으로 시행되며 시는 지난 2015년 제1차 기본계획(2016년~2020년)에 이어 이번 제2차 기본계획(2021~2025)을 수립했다.
이번 계획은‘안전하고 쾌적한 모두의 공간, 인천의 길 만들기’를 위해 공간적 형태에 따라 ‘걸을 수 있는 길’, ‘걸어야 하는 길’, ‘걷고 싶은 길’로 구분하고, 안전·연계·쾌적·편리·공존성이라는 5가지 목표를 설정했다.
그동안 자동차 소통 중심으로 운영 돼왔던 도로를 사람 중심의 도로로 조성해 보행을 최우선으로 한 안전하고 쾌적한 가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는 전차(2016~2020) 계획에서 보행자길 15개, 보행환경개선지구 9개를 지정·추진한 것에 비해 보행환경개선사업을 크게 확대한 것으로 원도심의 통학로와 어린이공원, 놀이터 인접 도로에서 차도와 보도를 완전히 분리하는 기법을 적용해 교통약자인 어린이 안전 확보를 중점으로 보행공간을 계획한 점이 주목된다.
또한 도로폭원별 도로 표준횡단을 제시해 최소 보도 폭을 2.5m 이상으로 확보하게 하여 기존 ‘보도설치 및 관리 지침’(국토부 예규, 유효폭 2.0m 이상) 보다 강화한 것으로, 도로에서 사람의 통행을 최우선으로 했다.
이와 함께 매년 시행되는 행정안전부‘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사업’ 공모사업 추진을 위한 시범사업지구 2개소(도화역 북측구역, 부평시장 일원)를 선정·제안해, 해당 구청과 함께 국비(사업비 50% 지원) 확보를 위한 사전계획도 수립했다.
시는 이번 계획으로 보행자의 안전확보와 사람중심 도로환경으로의 전환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조성표 시 교통건설국장은 “인천은 각종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유입인구가 증가(2016년 대비 0.53%)하고, 체육·공원·문화집회·유통시설 등 보행유발 시설의 증가로 통행량이 증가(목적통행량 1.01%, 수단통행량 0.54%)하고 있다”며 “이번 계획에서 보행환경 개선 대상지를 확대(전차기준: 길 15개소→55개소, 지구 9개→31개소) 선정해 보행시설을 확보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