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행정부가 대만에 전직 고위 국방 당국자를 파견한 것과 관련해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축인 대만과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강화해 중국을 견제하고자 한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이들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불안 심리를 달래고 대만에 대한 미국의 지지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대만으로 가지만,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지적했다. 대만에 파견되는 전직 고위 국방 당국자들은 현재 '민간인'에 불과하다며 구두상으로만 대만 지지를 외칠 것이란 이유에서다.
중국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 매체 런민즈쉰 역시 관련 소식은 대만 내 불안 심리를 없애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긴장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1일 대만에 도착해 2일 저녁까지 머물면서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추궈정 국방장관을 비롯한 고위 관계자들을 잇따라 만날 예정이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아시아 지역을 담당했던 에반 메데이로스 조지타운대 교수, 마이클 그린 CSIS 아시아 담당 선임 부소장 등도 동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만 연합보도 대만 외교부와 대만 총통부에 이 사실을 확인했다며 차이잉원 총리가 2일 오전 미국 대표단과 만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방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현실화한 상황에서 대만에 대한 중국의 침공 우려가 커진 가운데 나온 것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권에선 중국이 우크라이나 사태 속에서 대만에 기습 군사행동을 감행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로이터는 국방 담당 고위 당국자의 대만행은 중국이 러시아처럼 대만을 무력으로 침공할 경우 가만히 있지 않겠다는 사전 경고장을 날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중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동조했다는 국제 사회 비난 여론이 커지고 있다. 백악관은 27일 중국 정부에 러시아의 무력 침공을 공식 규탄할 것을 요구했지만, 중국은 중립을 표방하면서 러시아를 두둔하고 있다.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주권과 영토보존을 강조하면서 국제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각국이 대화와 협상을 통해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앞서 25일엔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규탄 결의안에도 반대를 택하지 않고 인도, 아랍에미리트(UAE)와 함께 기권표를 던진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