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태경 의원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하태경 의원(국민의힘)이 사행성 게임을 일반 게임에서 완전히 분리하는 것을 골자로 한 게임산업법 전부개정안을 27일 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사행성 확인 권한을 경찰에 넘겼다. 현재 게임물관리위원회가 도박 범죄를 판단·관리하는데, 이 과정이 사전 검열이나 전수 조사 식 규제로 계속 발전하면서 도박 행위를 막지 못하고 게임산업법의 취지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하 의원은 "경찰이 사행성을 확인하면 진흥과 처벌 대상 게임이 명확해지고 게임법 내 사행성 검증 규제도 대폭 완화된다"며 "행정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제작사의 게임 창작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시행령 상 불분명하게 정의된 화투·포커 등 웹보드 게임도 '사행행위모사게임'으로 정의했다. 이를 통해 불법 도박장으로 꼼수 운영 중인 성인 PC방을 관리 대상에 포함하는 한편 각종 규제 완화 대상에서 제외해 관리 감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거란 기대다.
장애인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원책도 포함됐다. 정부가 신체·정신적 장애 등 이유로 게임 이용이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관련 기본 계획을 세우고 행정·재정적 지원을 의무화한 내용이다.
확률형 아이템 관련 내용도 손봤다. 그간 용어 '아이템'은 강화·업그레이드 등 경우를 포함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하 의원은 아이템을 '확률형 게임 내용'으로 바꿨다. 게임 이용자가 확률형 게임 내용을 감시하는 구조를 합리적 수준으로 조정하면서 게임 이용자 권익 보호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서다.
하 의원은 "게임은 단순한 취미·여가 활동을 넘어서 직업·사회관계 등 삶의 전반적인 영역으로 확장했다"며 "국민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만큼 게임 이용자 보호와 게임산업의 진흥을 위한 국회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