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진안군]
23일 군에 따르면 현재 급수공사비 산정방식은 급수관 연결 거리와 계량기 구경에 따라 설계로 산출한 실액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는 상수도관과 거리가 먼 세대의 경우 높은 급수 공사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는 방식으로, 실제 공사 신청 후 높은 공사 비용으로 인해 중도 취소한 사례가 30여건이 넘게 발생하고 있다.
상수도가 보급된 마을에서도 비용 부담으로 인해 계곡수나 지하수를 사용하는 세대도 다수 남아 있다.
급수공사비 정액제 실시시 급수관 연결 거리와 관계없이 가정용 및 일반용 건축물은 100m까지 급수공사비를 구경별 정액제로 개선하게 돼 주민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군민들의 상수도 행정 투명성과 효율성이 확보돼 많은 주민들에게 물 복지가 실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 계량기 구경이 25㎜를 넘거나 농막을 포함한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가설건축물은 이번 정액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급수공사 연장거리가 100m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 거리에 대한 정액요금을 계상 적용된다.
소규모 공중이용시설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지원

[사진=진안군]
사업 대상은 장애인 편의시설 의무설치 시설이 아닌 300㎡ 미만의 일반음식점, 이·미용실, 편의점 등 소규모 공중이용시설로, △출입구 경사로 △자동출입문 △화장실 또는 계단 안전손잡이 설치비 등을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설치를 희망하는 사업주는 다음달 3일까지 사업장 소재지 읍·면 행정복지센터로 신청하면 되며, 설치를 위해서는 건물주의 사전 동의가 필요하다.
군은 신청접수 후 현장 조사를 통해 장애인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설을 대상으로 15개소를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