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투자자예탁금은 51조2524억원이었다. 지난 1월 2일 59조4948억원 대비 13.85%(8조2424억원) 줄었다.
거래대금도 급락했다.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친 전체 거래대금은 지난 21일 기준 14조336억원으로 1월 2일(18조6445억원)보다 24.71%(4조6109억원) 감소했다.
빚을 내 투자하는 '빚투' 역시 감소세다.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지난 7월 중순 20조원을 넘었지만 지금은 18조1600억원 수준에 그친다.
금투세는 주식·채권·펀드·파생상품 등 금융투자로 얻은 일정 금액(주식 5000만원‧기타 250만원)이 넘는 소득에 대해 전면 과세하는 제도로 정부와 여당(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 방침을 정했지만 입법 결정권을 쥔 야당(더불어민주당)은 아직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국 주식시장의 거래대금과 거래량 자체가 크게 줄었다"며 "100% 금융투자소득세 때문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개인투자자들이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여부가 불확실해 금투세 시행 여부가 결정된 뒤에 행동을 취하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탈한 자금은 해외로 쏠리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해외 주식 및 채권 규모는 1381억3917만 달러(약 190조5767억원)로 집계됐다. 2022년 766억8632만 달러, 2023년 1041억8835만 달러와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거대야당은 거의 사회주의사상에 찌드렸고 여당은 무능하고 증여 상속세 금투세는 대한민국 미래를 망치는 고약한 악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