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과 간장을 만들어 먹는 우리 장(醬)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3일(현지 시간)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개최된 제19차 유네스코 무형유산 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영문 명칭 ‘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는 한국의 23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됐다. ‘장 담그기’는 2018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바 있다.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장 담그기’라는 공동의 행위가 관련 공동체의 평화와 소속감을 조성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무형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문화 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는 등 인류무형유산 등재 요건을 충족한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는 한국 음식의 기본양념인 장을 만들고, 관리, 이용하는 과정의 지식과 신념,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장’은 한국인의 일상 음식에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 가족 구성원이 함께 만들고 나누어 먹는 문화가 세대 간에 전승되며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기능을 했다.
또한 삼국시대부터 장을 만들어 즐겨 먹었다고 알려질 정도로, 장 담그기는 우리 전통 음식문화 중 하나다. 한국의 장은 중국, 일본과 제조법에서 차이가 있어서 독특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메주를 띄운 뒤 된장과 간장이라는 두 가지 장을 만들고, 지난해에 사용하고 남은 씨간장에 새로운 장을 더하는 방식은 한국만의 독창적 문화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는 보편적이어서 오히려 간과될 수 있는 생활관습 분야의 무형유산이 지닌 사회적, 공동체적, 문화적 기능과 그 중요성을 환기한다”며 “무형유산 전반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한식진흥원 및 다양한 민간단체가 준비 과정에서부터 협력해 이뤄낸 성과다. 민·관의 협력으로 전 세계에 우리 전통문화를 알리는 쾌거를 거두게됐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장 담그기는 가족 내에서 전승되어 온 집안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으며, 한국인의 일상문화에 뿌리를 이루고 있다”며 “그동안 한국인의 음식문화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왔음에도, 보편적 일상음식이라는 인식 때문에 문화적 가치가 소홀히 여겨졌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등재를 통해 국민들이 우리 음식문화에 자부심을 가지고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국민적 사랑과 관심을 더해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전 세계가 인정하고 널리 향유할 수 있는 무형유산으로 계승, 발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등재로 우리나라는 총 23건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 우리 고유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 또한 유네스코 무형유산 보호 협약에 따라 문화 다양성과 인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