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경영연구원은 ‘2025년 전력산업 경영환경 전망’ 보고서에서 국제에너지기구(IEA) 전망치를 인용해 올해 원전 발전량이 작년보다 3.5% 늘어난 2907TWh(테라와트시)로 역대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7일 밝혔다.
연간 기준 글로벌 원전 발전량은 2023년 2765TWh, 2024년(전망) 2809TWh, 2025년 2907TWh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 원전 설비용량은 지난해 기준 26.1GW(기가와트)로 세계 5위 수준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새울 3·4호기, 신한울 3·4호기 등 총 5.6GW 규모의 원전 4개 호기가 건설 중이다.
지난해 11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에서는 탄소중립과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뿐 아니라 원전도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전 용량을 3배로 확대하는 '넷제로 이니셔티브'에 참여를 선언한 국가도 한국, 미국, 프랑스, 아랍에미리트(UAE) 등 기존 25개국에서 31개국으로 늘어났다. 신규 참여국은 케냐, 튀르키예, 엘살바도르, 카자흐스탄, 코소보, 나이지리아 등이다.
아시아 등 개발도상국들의 원전 도입 움직임도 주목된다. 아시아 지역에서 건설 중인 원전은 총 63기, 건설을 논의하거나 계획하고 있는 원전은 총 427기에 이른다.
연구원은 원전 수요 증가로 원자력 기술 고도화와 원전 산업 가치사슬 전반의 활성화를 촉발해 사업 분야가 확장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소형모듈원전(SMR)과 10㎿ 이하 원자로(MMR) 등을 상용화하는 노력도 이어가야 한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SMR의 경우 설계·조달·건설(EPC)뿐 아니라 운영·정비·연료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에 민간기업과의 파트너십 및 국제 협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했다.
이어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원전 도입 움직임은 활발하지만, 현지 공급망이 구축돼 있지 않다"며 "한국 기업들이 원전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개도국 등에 대한) 자금 조달 방안과 함께 소형 원전 건설 등으로 전략을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