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인 1일을 맞아 서울 도심 곳곳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찬반 집회가 열리며 도로 통제와 교통 혼잡이 발생했다. 특히 찬반 집회가 동시에 진행된 광화문 일대는 양측 참가자들이 몰리며 한때 긴장감이 고조됐고, 경찰이 충돌 방지를 위해 질서 유지에 나섰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 대개혁 비상행동’ 등 1700여 개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오후 4시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인근에서 윤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를 열었다. 민주노총은 오후 3시 별도의 집회를 연 후 합류했다.
비상행동은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과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김민문정 비상행동 공동의장은 “헌정질서와 인권을 부정하며 법 위에 군림하려는 독재 야욕이 비상계엄과 포고령으로 드러났다”며 “이것이 내란이 아니라면 무엇이 내란이냐”고 주장했다.
이들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내란 혐의 특검법에 대해 다시 거부권을 행사한 점을 비판하며 즉각 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내란수괴 윤석열 즉각 파면’, ‘국민의힘 해체’ 등의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같은 날 오후 2시 시민단체 촛불행동도 헌법재판소 앞 안국역 인근에서 촛불문화제를 열고, 이후 비상행동 집회에 합류했다. 김민웅 촛불행동 상임대표는 “올해 우리는 내란 수괴를 처단하고, 내란 잔당을 소탕해야 한다”며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정부를 건설하자”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는 지지자들 간 내부 갈등으로 여러 곳에서 나뉘어 열렸다.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는 오후 1시 종로구 세종대로에서 탄핵 반대 집회를 개최했으며, 개신교 단체 세이브코리아는 오후 2시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전국 15개 지역에서 ‘국가비상기도회’를 열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총괄대표로 있는 부정선거방지대도 이날 오후 2시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보수단체 자유대한호국단은 같은 시각 강남역에서 윤 대통령의 석방과 공소기각을 촉구하는 집회를 진행했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이지 않고 따로 집회를 여는 것은 지난달 15일 윤 대통령 체포와 서부지법 난동 사태를 전후해 불거진 내부 분열의 여파다.
‘광화문파’로 불리는 전 목사 측의 기존 집회 방식이 ‘코인팔이(돈벌이)’, ‘가두리 시위’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나오면서 여의도 집회 등으로 이탈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적극적 실력 행사를 하지 않고 노래와 연설만으로 집회를 진행해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을 막지 못했다는 책임론이 제기된 것이다.
서울경찰청은 도심 내 교통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통경찰 240여 명을 배치하고 집회 행진 구간에서 차량 우회 및 통행 관리를 실시했다. 경찰 관계자는 “세종대로, 사직로, 율곡로 등 주요 집회 장소 인근에서 차량 정체가 예상된다”며 “가급적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차량을 이용할 경우 사전에 교통정보를 확인해 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