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글로벌IB 韓성장률 전망치 평균 1.6%…4개월 연속 추락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민지 기자
입력 2025-02-05 15: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성장률 한달새 1.7→1.6%로 0.1%p 또 떨어져

  • 완화적 통화정책·경기부양책 기대 높아졌지만

  • 트럼프발(發) 관세 리스크 현실화 직격탄

  • 대중 무역비중 높은 한국 성장률 둔화 가능성↑

  • 고환율·고유가에 물가 전망은 1.9%로 높아져

연합뉴스
[연합뉴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4개월 연속 하향 조정했다.

5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IB 8곳이 제시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2월 말 평균 1.7%에서 올해 1월 말 1.6%로 0.1%포인트 떨어졌다. 

IB 평균 전망치는 4개월째 내림세다. 지난해 9월 말 2.1%에서 3분기 수출 감소를 확인한 직후인 10월 말 2.0%로 떨어진 뒤 줄곧 뒷걸음질 쳤다.

한 달 새 바클리가 1.8%에서 1.6%로, 씨티가 1.6%에서 1.5%로, JP모건이 1.3%에서 1.2%로 각각 전망치를 조정했다. UBS는 1.9%, 뱅크오브아메리카와 골드만삭스는 1.8%, HSBC와 노무라는 1.7%를 각각 유지했다.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는 데다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글로벌 무역 갈등이 격화하면서 성장 하방 압력이 커진 탓이다.

국제금융센터는 "완화적 통화정책, 인프라 투자 확대 등 경기부양책 기대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발(發) 관세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대중 무역비중이 높은 한국 성장률이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고 해석했다.

고환율·고유가로 물가 전망치는 한 달 전보다 더 높아졌다. IB 8곳이 제시한 올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해 12월 말 평균 1.8%에서 올해 1월 말 1.9%로 0.1%포인트 상승했다.

바클리가 1.8%에서 1.9%로, 노무라가 1.7%에서 1.8%로 각각 높였다. JP모건과 HSBC는 2.0%, 씨티와 UBS는 1.9%, 뱅크오브아메리카는 1.8%, 골드만삭스는 1.6%를 각각 유지했다.

통계청은 이날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지수가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5개월 만에 2%대에 재진입한 것으로 이는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