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다수의 외신이 우리나라가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물품에 대한 관세율을 멕시코, 캐나다 등에 이어 13.6% 수준이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실효 관세율이 0%대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우리나라의 평균 최혜국 대우(Most Favored Nation) 관세율은 13.4%수준이지만 미국 등 자유무역협정(FTA)를 맺고 있는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은 이보다 낮은 수준의 FTA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한미 FTA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공산품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0%"라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비관세 요인까지 고려해 4월 이후 자국의 주요 무역수지 적자국에 '맞춤형'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각 교역 상대국의 관세, 세금, 비관세 장벽, 환율 정책, 기타 미국 기업의 시장 진출을 막는 불공정한 관행 등을 조사해 그에 상응하는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물품에 적용하는 관세율이 매우 낮다는 입장이다. 지난 2007년 한미 FTA 체결 이후 현재 대미 수입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은 2024년 기준으로 0.79% 수준이다. 이는 환급을 고려하지 않은 실효세율이 기준이며 환급까지 고려하면 이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우리 정부는 설명했다.
또 연도별 양허 계획에 따라 올해는 관세율이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한미 FTA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공산품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0%라고 부연했다.
이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한미 FTA로 적용 관세율이 낮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가)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미국이 관세뿐만 아니라 부가가치세, 디지털서비스세 등 비관세장벽까지 포함해 평가할 것으로 예고한 점을 감안해 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성이 있다"며 "우리의 취약점과 비관세장벽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미국에 설명할 자료를 준비하는 등 철저히 대비하라"고 지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