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부부와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의 공천 개입 의혹에 관한 수사가 창원지검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넘어와 진행된다. 이전에 다수 사건에 연루된 김건희 여사가 소환 조사 없이 불기소 처분을 받은 만큼 야당에서는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요구하고 있다.
창원지검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이해충돌방지법·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등 관련자들을 기소하고, 수사 중이던 나머지 사건을 서울중앙지검에 이송했다고 17일 밝혔다.
서울중앙지검은 윤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비롯해 공직선거 또는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의 여론조사 결과 조작 의혹, 여론조사 결과 무상 제공 의혹,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 등에 관한 사건을 수사하게 된다.
지난해 11월 창원지검이 작성한 수사보고서를 보면 수사팀은 그해 9월 30일 김 전 의원의 회계 책임자였던 강혜경씨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해 윤 대통령 부부와 명씨가 주고받은 카카오톡·텔레그램 대화 캡처 사진을 확보했다. 해당 사진은 이들이 2021년 6월 26일부터 2013년 4월까지 나눈 대화를 캡처한 것으로 중복된 내용을 제외하고 총 280개에 달한다.
강씨는 지난해 10월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나와 지난 대선 당시 명씨가 당시 윤석열 후보자에게 불법 여론조사 결과를 제공한 대가로 김 전 의원이 2022년 6·1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공천을 받았고, 이 과정에 김 여사가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명태균게이트 진상조사단 수석대변인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애초에 창원지검이 수사를 맡았고, 상당 부분 진행해 온 상황에서 지금 시점에서의 이송은 수사 지연 혹은 축소를 위한 조치라는 의구심을 피할 수 없다"면서 "특히 검찰이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비공표 여론조사를 최소 4차례 받았으며, 그중 일부는 조작된 것으로 의심된다고 보고 있는 이상 수사는 더 속도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핵심 증거와 주요 관계자 조사 없이 사건을 이송한 것은 특검 도입을 피하기 위한 명분 쌓기에 불과한 것 아닌가"라며 "만약 검찰이 미온적인 태도를 유지한다면 국민은 특검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김 여사가) 나오지 않으면 강제수사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민간인이다"라며 "중요한 핵심 피의자로 볼 수도 있는데, 명품백 수사하듯이 특혜 출장 조사를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 여사는 최재영 목사로부터 300만원 상당의 명품 가방 등을 수수한 혐의로 검찰의 수사를 받았다.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회장의 주가 조작 과정에서 '전주' 역할을 담당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하지만 검찰은 서울중앙지검 청사가 아닌 대통령경호처 부속 청사에서 검찰총장에게 사전 보고 없이 김 여사를 조사해 논란이 일었다. 검찰은 지난해 10월 이들 사건에 대해 모두 무혐의 처분했다.
김 여사는 자신이 운영하는 코바나콘텐츠가 주관한 전시회에 협찬금 후원사가 늘어나는 등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도 받았다. 검찰은 2021년 6월 공소시효가 임박한 부분을 일부 불기소 처분하고, 이후 김 여사에 대한 서면 조사 등을 거쳐 2023년 3월 나머지 혐의에 대해서도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