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일 여야정 국정협의회를 앞두고 농업 단체도 신속한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요구했다.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는 19일 "농촌 현장에서는 연초부터 추경 편성의 필요성을 계속해서 제기했다"며 "여야 모두 중도층 표심 등 정치적 셈법을 떠나 지난해 증액을 추진한 주요 민생사업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자금 대출 선정 방식을 기존 선착순에서 선별로 변경했다가 홍역을 치렀다"며 "지난해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무기질비료 가격보조 및 수급안정, 사료구매자금 등 농가 지원사업 예산 증액이 무산돼 혼란이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농가들은 농업경영비 상승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실제 호당 농업경영비는 2023년 기준 2678만원으로 최근 10년 전과 대비해 22.4% 증가했다. 수년동안 사료비와 비료비가 급등하면서 농업경영비 부담이 매년 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인 단체는 신속한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는 "몇 주 후면 본격적인 농번기가 시작되고 이에 따라 농기자재 구매 수요가 집중된다"며 "끝까지 추경을 정치적 도구로 활용하려 한다면 농업인은 여야 구분 없이 정치권에 그 책임을 따져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는 19일 "농촌 현장에서는 연초부터 추경 편성의 필요성을 계속해서 제기했다"며 "여야 모두 중도층 표심 등 정치적 셈법을 떠나 지난해 증액을 추진한 주요 민생사업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자금 대출 선정 방식을 기존 선착순에서 선별로 변경했다가 홍역을 치렀다"며 "지난해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무기질비료 가격보조 및 수급안정, 사료구매자금 등 농가 지원사업 예산 증액이 무산돼 혼란이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농가들은 농업경영비 상승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실제 호당 농업경영비는 2023년 기준 2678만원으로 최근 10년 전과 대비해 22.4% 증가했다. 수년동안 사료비와 비료비가 급등하면서 농업경영비 부담이 매년 늘고 있는 실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