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2025-03-19

하나銀, 2년7개월 만에 최대…'토허제 후폭풍'에 예대금리차 더 커진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수지 기자
입력 2025-03-30 14:5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작년 8월보다 2배 이상 커진 예대금리차…토허구역 해제 여파, 금리 인하 '글쎄'

사진 연합뉴스
서울의 한 은행 영업점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은행 이익 기반인 예대금리차가 2년 7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 지난해 가계대출 관리로 여러 차례 대출 가산금리를 올린 반면 기준금리 인하로 예금금리는 계속 내린 탓이다. 최근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폭풍으로 은행이 다시 가계대출을 조이며 당분간 예대금리차 확대가 불가피해졌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지난달 취급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30~1.47%포인트(p)로 집계됐다. 평균 예대금리차는 1.38%p로 지난해 8월부터 7개월 연속 확대됐다. 지난해 8월(0.57%p) 대비 현재 예대금리차는 2배 이상 커졌다.
 
예대금리차는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값인데, 이른바 ‘이자 장사’를 통해 벌어들인 이익의 정도를 나타낸다.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은행 이자 이익이 크다는 의미다.

특히 하나은행(1.40%p)은 2년 7개월 만에 예대금리차가 가장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시 자료가 존재하는 2022년 7월 이래 최대다. KB국민은행은 2023년 2월(1.48%p), NH농협은행은 지난해 1월(1.50%p) 이후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고, 신한·우리은행도 지난 1월보다는 낮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처럼 은행의 예대금리차가 큰 폭 확대한 이유는 복합적이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 폭증하는 가계대출을 막기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대출 가산금리를 올린 한편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예금금리는 계속 내렸기 때문이다. 실제 예금금리는 계속 인하해 3%대 금리를 찾기 어려워졌다. 5대 은행의 예금 상품 중 3% 이자율을 주는 건 ‘NH고향사랑기부예금’이 유일하다.
 
여기에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 여파까지 맞물리며 당분간 예대금리차 확대는 불가피해졌다. 지난달 토허구역 해제 이후 집값이 오르며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조이고 있어서다. 이에 가계대출에 대한 자율 관리 강화를 주문받은 은행권도 사실상 가산금리를 내리기 힘들어졌다. 또 대출 가산금리를 올리지 않는다고 해도 추가 기준금리 인하로 예금금리를 내리면 자연스레 예대금리차는 더 벌어지게 된다.
 
이달 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이긴 했지만, 아직 안정됐다고 보긴 이른 만큼 은행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추세는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달 27일까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말 대비 1조5272억원 증가했다. 2월(3조90억원)보다는 크게 줄었지만, 여기엔 지난달 토허구역 해제에 따른 영향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본다. 통상 주택 거래와 실제 대출 실행 간에는 1~2개월의 시차가 있어 4~5월까지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이 대출 가산금리를 내리고 싶어도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방침에 따를 수밖에 없고, 대출 금리를 내린 은행으로 쏠림 현상도 우려된다”며 “토허구역 해제 당시 거래가 아직 대출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