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2일 오후 3시(한국시간 3일 오전 4시)에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미국 보수 성향 매체 폭스뉴스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수십년 만에 아마도 내가 대학생이었던 시기 이후 처음으로 우리는 공정한 무역을 보게 될 것이고, 모두는 그들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낮출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부과 대상 국가와 방법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아 부과 계획 발표가 연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달 31일 폭스뉴스는 사안에 정통한 두 명의 행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 가지 옵션 가운데 상호 관세 계획을 아직 확정하지 않았으며, 4월 2일 마감일 아침까지 결정을 연기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직전이나 4월 2일 아침에야 어떤 계획을 취할지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역시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수요일(2일)의 목적은 국가별 관세지만 대통령은 분명히 품목별 관세 부과에도 전념하고 있다고 말해왔다. 난 대통령이 그 결정을 언제하고 언제 발표할지는 그에게 맡기겠다"며 2일 상호관세 외에 품목별 관세 역시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보좌관들로부터 관련해 몇 가지 안들을 보고 받은 가운데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내릴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어떠한 국가 단위의 관세 면제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레빗 대변인은 유럽연합(EU)의 50% 유제품 관세, 일본의 700% 쌀 관세, 인도의 100% 농산물 관세, 캐나다의 300% 버터·치즈 관세 등 다른 나라의 불공정 무역 사례를 나열하며 "유감스럽게도 이 나라들은 너무 오랫동안 우리나라를 갈취해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수십년간 이런 관세가 미국 제품을 이런 시장으로 수입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고, 많은 미국인이 폐업하고 일자리를 잃게 했다. 그러니 이제는 상호주의의 시간이다"라며 상호관세 발표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호주같이 대미 관세가 없지만 비관세 장벽이 있는 나라도 상호관세 부과를 예상해야 하냐는 질문에 "미국인을 불공정하게 대우한 모든 국가는 관세를 예상해야 한다"고 답했다.
주식시장의 부정적인 반응 때문에 관세 정책을 재검토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도 "대통령이 항상 말했듯이 주식시장은 한 시점을 포착한 것에 불과하며 대통령은 일반 미국인을 위해 최선인 일을 하고 있다. 1기 행정부 때 그랬듯이 월가는 이번 행정부에서도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