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美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 "트럼프 車관세 대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황진현 기자
입력 2025-04-04 08: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美처럼 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제외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캐나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25%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미국 시민들에게 미칠 충격에 비춰볼 때 미국 행정부는 결국 정책을 바꿔야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잘못된 희망을 줄 순 없다"며 이같은 대응을 발표했다. 그는 또한 앞서 부과한 캐나다의 맞불 관세 조치 역시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 것처럼 자동차 부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캐나다인들이 통합 자동차 부문의 이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도 어쩔 수 없이 이러한 조치(보복 관세)를 취하는 것이다. 우리는 미국에서 최대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에서는 최소 영향을 미치기 위해 의도된 방식으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캐나다 정부는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상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면제하기로 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USMCA 적용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한 것과 동일한 조치다.
 
또한 카니 총리는 "미국은 지난 80년간 글로벌 경제 리더십을 발휘해왔고, 이 기간 미국은 신뢰와 상호존중에 근거한 동맹을 강화하면서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을 옹호했다. 하지만 이제 그 시기는 끝났다"며 "미국이 더 이상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주도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면 캐나다가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전 세계를 대상으로 '10%+α' 세율의 상호관세를 도입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는 것을 근거로 이미 25% 관세를 부과받은 상태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 오전 0시1분부터 미국 이외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대해서도 25% 관세를 예외없이 부과하기 시작했다. 엔진 등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늦어도 다음달 3일 이전에 2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