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국내 OLED TV 1위 자신··· 美관세 영향 크지 않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효정 기자
입력 2025-04-07 11:4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올해 '4000만 대' TV 출하 목표"

  • OLED 수량 확대, 신제품 라인업 대거 공개

  • 관세 영향엔 10개 생산거점으로 대응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장사장이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행사 언박스 앤 디스커버Unbox  Discover 2025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효정 기자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장(사장)이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행사 '언박스 앤 디스커버(Unbox & Discover) 2025'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효정 기자]
 
"OLED TV 경쟁력이 다른 회사 제품보다 업계 최고 수준이라 생각한다. 한국 시장에서 올해 1등을 하겠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은 7일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열린 '언박스 앤 디스커버(Unbox & Discover) 2025'를 통해 이같이 말하며 "프리미엄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OLED TV 비중을 계속해서 늘려가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대내외적 불확실성에도 OLED를 비롯한 프리미엄 TV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고 판단, 프리미엄 제품군의 비율을 지속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용 사장은 "올해 전체 TV 출하량은 4000만대 수준이 될 것"이라며 "올해 수량 자체의 성장이 힘들 것이라는 예상이지만, 프리미엄을 위주로 판매를 넓혀가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풀 라인업이 갖춰졌고 AI 비전과 같은 막강한 기능이 탑재돼 승산이 있다"고 자신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와 관련해서는 관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적극 대응하겠다고 했다.

용 사장은 "(미국 수출용) TV는 거의 대부분이 멕시코에서 만들어진다"며 "경쟁사 대비 관세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이지만 관세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어서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은 세계 10개의 생산거점이 있어서 관세에 따라 생산거점을 통해 관세로 인한 파고를 넘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을 우려해 미국 시장에서 사재기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직 소비자들이 구체적으로 그런 활동을 하거나 영향력 있는 현상이 보이진 않는다"며 "미리 재고를 쌓거나 하는 건 안 하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멕시코를 비롯한 브라질,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에 TV 생산공장을 운영 중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AI TV 라인업을 기존 네오 QLED(퀀텀닷 디스플레이)와 OLED에서 QLED와 더 프레임까지 확대했다. 또 '크면 클수록 좋다'는 거거익선(巨巨益善) 트렌드에 따라 115형의 초대형 네오 QLED 제품도 새롭게 출시해 초대형 TV 수요를 겨냥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도 2025년형 LG 올레드 TV 신제품으로 시장 위치를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42형부터 97형에 이르는 다양한 사이즈로 업계 최다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형 올레드 TV를 앞세워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리더십을 더욱 굳건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