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광명시가 9일 사업성 낮은 지구 내 공동주택의 원활한 재건축 사업 지원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등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날 신도시개발 장병국 국장은 시청 중회의실에서 기자 브리핑을 열고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이 오는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고 말 문을 열었다.
장 국장은 "노후·공동주택 단지가 집중된 철산·하안택지지구 지구단위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재건축 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사업은 오는 12월 단지별 정비구역 지정, 2027년 사업시행인가, 2028년 관리처분인가, 2030년 공사 착공, 2033년 재건축 정비사업 준공을 목표로 순차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특히, 장 국장은 이번 사업 핵심으로 지난해 3월 철산주공12~13단지, 하안주공1~13단지를 대상으로 수립한 철산·하안택지지구 지구단위계획을 꼽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은 이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것과 달리, 정밀안전진단 승인 완료 전 계획을 수립해 원활한 재건축 사업 추진 기반을 조기에 확보했기 때문이다.
현재 철산주공12~13단지와 하안주공1~12단지(하안주공13단지 제외) 등 14개 단지는 재건축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며, 철산주공12~13단지는 2023년 1월, 하안주공1~12단지는 2024년 7월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이들 단지는 대부분 15층 규모의 중층 공동주택으로, 용적률이 평균 168%에 달해 사업성이 낮아 지구단위계획에 사업성 확보 방안, 편의시설 확보 방안 등을 담아 재건축 사업의 원활한 추진 기반을 마련해야 했다.
이에 장 국장은 지구단위계획에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확보, 기반 시설 확보 등의 내용을 담아 원활한 추진을 도왔다.
우선 정비구역 통합개발로 기반시설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했다.
하안주공1·2단지, 하안주공3·4단지, 하안주공6·7단지, 하안주공10·11단지 등 8개 단지를 4개로 묶고 나머지 단지들은 개별로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해 통합개발을 유도했다.
4개 특별계획구역으로 묶인 8개 단지는 묶인 단지끼리 물리적으로 큰 구분 없이 인접해 있어 개별적으로 정비하기보다는 하나의 정비구역으로 묶어 기반시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연계성을 강화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게 장 국장의 설명이다.

또 향후 재건축 정비계획 수립 시 현행 제2종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지구 내 건축물의 높이와 배치를 통합적으로 계획해 획일적인 층수 계획을 지양하고, 보다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아름다운 도심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주변 산의 조망권을 해치지 않도록 조화로운 경관유지에도 중점을 둔 상태다.
한편 박승원 시장은 “이번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으로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쾌적한 삶의 질과 여유로운 휴식공간을 제공해 보다 안정적이고 살기 좋은 생활 기반이 조성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