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파월 해고' 철회한 이유…"베선트·러트닉이 만류"

  • "금융시장 큰 혼란…금리 인하 얻기 어려울 것" 조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및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  출처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과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해임하겠다며 압박하다 입장을 바꾼 배경에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의 만류가 있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다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과 관련해 "해고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태도를 바꾼 것은 베선트 재무장관과 러트닉 상무장관 등 고위 관료들의 조언을 따른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의 해임을 시사하는 발언을 쏟아내자 백악관의 변호사들이 실제로 '정당한 사유'(cause)에 근거해 파월 의장을 해임할 수 있는지를 포함해 법적 옵션을 내부적으로 검토했다.
 
연준의 규정상 연준 총재를 임기 전에 해임하려면 그럴 만한 사유가 있어야 하는데 법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위법 행위나 부적절한 행위를 해임의 정당한 사유로 해석해왔다. 연준 의장의 임기는 4년으로, 파월 의장은 2018년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임명됐다. 2022년 조 바이든 당시 대통령에 의해 재임돼 2026년 5월 임기가 만료된다.
 
소식통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는 베선트 장관과 러트닉 장관의 조언 이후 달라졌다고 전했다. 두 장관은 파월 의장을 해임할 경우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질 뿐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금리 인하'도 얻기 어려울 것이라고 조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다른 소식통은 러트닉 장관은 이에 더해 파월 의장을 해임하더라도 연준의 다른 이사들이 파월 의장과 유사한 통화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금리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않을 것이라고 조언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 "파월 해임은 아무리 빨라도 지나치지 않다"며 "내가 요구하면 (파월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1일에도 '미스터 투 레이트'(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것을 비꼰 표현)이자, 중대 실패자가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
 
하지만 하루 뒤인 22일 "나는 그를 해고할 생각은 전혀 없다"며 언론이 과도하게 보도한 탓에 해임설이 제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테일러 로저스 백악관 대변인은 그러한 대화가 실제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면서도 "대통령에게는 수많은 주제에 대해 조언하는 훌륭한 고문단이 있지만, 결국 최종 결정권자는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미국 재무부와 상무부 대변인은 WSJ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 경제 참모를 역임한 스티븐 무어는 워싱턴포스트(WP)에 "트럼프는 결국 현명한 결정을 내렸다"며 "파월 해임에 시장은 매우 부정적으로 반응했을 것"이라며 "최근 한 달여 동안의 시장 혼란을 고려할 때 추가적인 불확실성을 초래할 시점이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