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일대일 맞수토론…'한덕수 단일화' 두고 입장 제각각 (종합)

  • '즉문즉답 OX'…金 'O'·安 'X'·韓 '△'

  • 尹 계엄·탄핵 두고도 각 주자 설전

  • "당이 해결했어야" VS "계엄 사과해야"

24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김문수왼쪽 한동훈 후보가 토론 전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4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김문수(왼쪽), 한동훈 후보가 토론 전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단일화 문제를 두고 김문수·안철수·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예비후보들의 의견이 제각각 나뉘었다. 김 후보는 찬성 입장을 밝힌 반면 안 후보는 직무 공백을 우려해 반대 의견을 냈다. 한 후보는 의견을 유보했다. 

24일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2차 경선 맞수 토론회 중 '즉문즉답 OX' 코너에서 김 후보는 'O', 안 후보는 'X', '한 후보는 팻말을 세로로 들며 이같은 견해를 밝혔다. 

김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를 꺾지 않으면 대한민국이 의회, 국회 독재로부터 대통령 독재까지 합쳐지고, 또 사법부도 정상적이지 않을 것"이라며 자신의 입장을 설명했다. 특히 "국민 중 (이 후보를) 정치적으로 반대하는 사람은 전부 정신 병원에 갇힐 위험이 있다"며 "무조건, 한덕수든 김덕수(김문수+한덕수)든 다 합쳐서 이 후보를 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합의가 안 되면 보수층에서 두 명의 후보가 나와도 상관없는 것이냐'는 진행자의 추가 질문에는 "한 대행을 잘 알기 때문에 그분이 그렇게 무리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안 후보는 'X'를 들어 보이며 "지금 한 대행이 해야 할 일이 너무나도 많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미국 관세 문제가 정말로 심각하다"며 "미국은 대통령 4년 임기 중에서 6개월 내 정책이 다 결정되는데 민주당 때문에 3개월 동안 일을 하지 못한 게 너무 아쉽다"고 덧붙였다.  한 대행이 직무 정지 사태에 놓이며 사태 수습이 늦어졌던 만큼, 남은 기간 상황 관리에 매진해야 한다는 취지다.

'O'도 'X'도 아닌 '△'를 뜻하는 세로 방향으로 팻말을 든 한 후보는 "이기기 위해선 정말 뭐든 해야 한다. 치열하게 토론하더라도 힘을 합쳐서 이겨야 한다"며 이 후보의 독주를 막아야 한다는 입장은 김 후보와 같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시점에서 '단일화' 문제가 여러 차례 거론되는 상황을 두고는 "보수를 대표하는 우리 정당이 치열한 경선을 하는 과정에서 미리 너무 앞장서서 말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한덕수 차출론이 불거졌을 당시 '주가조작', '우회상장' 등의 표현을 사용했는데 세모 입장을 낸 건 다소 입장이 바뀐 것 아니냐'는 진행자의 지적에는 "바뀐 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국민의 관심이 집중돼야 할 경선이 흐려지게 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 입장은 지금도 같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에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탄핵에 대한 의견도 갈렸다. 김 후보는 "우리 당이 뭉쳐서 해결해야지, 걸핏하면 탄핵하고 더불어민주당에서 정략적으로 국무총리부터 탄핵하고 이건 문제가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또 "안 의원은 윤석열 정권 인수위원장도 하지 않았냐"며 "윤 정부 산파를 하신 건데, 산파가 윤 대통령이 잘못되면 이건 아닙니다 막아야 하지 않았나"라고 날을 세우기도 했다.

이에 안 후보는 "국회의원은 한 사람 한 사람이 헌법기관이다. 자기 소신에 따라 당론과 달라도 투표할 권리가 있다"며 "제 소신에 따르면 헌법을 정면으로 어겼기 때문에 탄핵소추안에 찬성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와 벌인 설전에서 "(김 후보는) 계엄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것 같다. 그런 생각으로는 선거를 치를 수 없다"며 "국민들께 계엄에 대해 사과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오는 25일 맞수 토론회를 이어간다. 홍준표 대선 예비후보와 홍 후보는 3시간 동안 '끝장 토론'을 벌일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