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폴리텍대학 로고. [한국폴리텍대학 제공]
한국폴리텍대학이 30일 창원캠퍼스에서 '미래산업과 폴리텍대학의 발전방향'을 주제로 2025 직업교육 인사이트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과 기술 혁신 흐름 속에서 미래 산업의 방향을 진단하고, 직업교육이 나아갈 길을 함께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기존 강연 중심의 형식에서 벗어나 이철수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과 졸업생 최고경영자(CEO)들이 함께한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됐다. 산업 현장을 이끄는 동문 기업인 6명이 연단에 올라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학생들에게 산업 변화에 대비하는 실질적 조언을 전했다.
이날 어재동 에스앤디이엔지 대표는 "산학협력 확대·평생교육 체계 구축·교육 인프라 현대화가 폴리텍의 지속가능한 발전 핵심"이라며 "기업과의 공동 프로젝트와 인턴십 프로그램을 늘려 학생들이 실제 경험을 쌓고 기업은 조기 인재 발굴에 나설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상덕 삼일엔지니어링 대표는 "향후 전력산업의 핵심은 AI와 IoT 기반의 에너지 효율 관리"라며 "AI와 데이터 시스템을 다룰 수 있는 인재 양성이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류병현 동구기업 대표는 "실무 중심 교육과 탄탄한 동문 네트워크가 졸업 이후 성장의 기반이 됐다"며 "멘토링과 취업지원 확대를 통해 후배들과 지역 산업 발전에 더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김인성 다울산업개발 대표, 조성대 서울전설 대표 등 동문 기업인들은 기술 창업 교육 확대와 교육-채용 연계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며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철수 이사장은 "뿌리산업은 단순히 전통적인 산업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지속해서 발전할 수 있다"며 "한국폴리텍대학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첨단화된 산업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 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과 기술 혁신 흐름 속에서 미래 산업의 방향을 진단하고, 직업교육이 나아갈 길을 함께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기존 강연 중심의 형식에서 벗어나 이철수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과 졸업생 최고경영자(CEO)들이 함께한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됐다. 산업 현장을 이끄는 동문 기업인 6명이 연단에 올라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학생들에게 산업 변화에 대비하는 실질적 조언을 전했다.
이날 어재동 에스앤디이엔지 대표는 "산학협력 확대·평생교육 체계 구축·교육 인프라 현대화가 폴리텍의 지속가능한 발전 핵심"이라며 "기업과의 공동 프로젝트와 인턴십 프로그램을 늘려 학생들이 실제 경험을 쌓고 기업은 조기 인재 발굴에 나설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김인성 다울산업개발 대표, 조성대 서울전설 대표 등 동문 기업인들은 기술 창업 교육 확대와 교육-채용 연계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며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철수 이사장은 "뿌리산업은 단순히 전통적인 산업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지속해서 발전할 수 있다"며 "한국폴리텍대학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첨단화된 산업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 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