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3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4.7(2020년=100)으로 전월 대비 0.9% 늘었다.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나타낸 것이다.
광공업 생산은 전기·가스업(-4.2%)에서 줄었지만 광업(5.8%)과 제조업(3.2%)에서 늘면서 전월 대비 2.9% 증가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 중심으로 반도체 생산이 13.3% 늘었다. 2023년 8월 이후 19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반면 서비스업은 전월 대비 0.3% 감소했다. 도소매업(-3.5%) 생산이 감소 전환한 가운데 금융·보험(-2.1%), 정보통신(-2.1%) 등의 생산도 줄었기 때문이다. 건설업 역시 전월의 증가 흐름을 이어가지 못한 채 2월보다 2.7% 감소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소매판매액지수는 1.5% 증가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매 판매 기준으로 감소 추세가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며 "1분기 전기차 보조금 집행, 휴대전화 신재품 출시 등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일시적인 정책 효과 영향인지 근본적인 개선이 이뤄졌는지는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투자 역시 감소 전환했다. 설비투자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3.4%)에서 투자가 늘었지만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2.6%)에서 투자가 줄어 전월 대비 0.9% 감소했다. 건설기성은 토목(-6.0%)과 건축(-1.5%) 모두 공사 실적이 줄면서 전월 대비 2.7% 감소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3포인트 오른 98.8을 기록했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오른 100.6을 나타냈다. 동행종합지수와 선행종합지수는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심의관은 "2월 상승에 따른 기저효과로 소매 판매와 설비투자 등이 다소 주춤했지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생산 호조세를 나타냈다"며 "동행종합지수와 선행종합지수가 2개월 연속 증가했지만 추세가 전환됐는지 판단하기는 어렵다. 최소 6개월은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관세 조치 영향과 관련해서는 "1차 금속인 철강 생산은 오히려 증가했고 자동차도 증가했다"며 "현재 지수에서는 관세 영향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