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아마존은 29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초저가 상품 '아마존 홀' 스토어를 운영하는 팀이 특정 제품에 수입 비용을 표시하는 아이디어를 검토했으나, 이는 주요 아마존 사이트에 대한 고려 대상이 결코 아니었으며 아마존의 어떤 플랫폼에도 구현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아마존 홀은 지난해 11월부터 중국의 테무와 쉬인을 겨냥한 쇼핑몰로 20달러 이하의 초저가 상품을 판매 중이다.
아마존은 이런 검토 내용이 승인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미 CNN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련 보도가 전달된 직후 대통령이 곧장 전화를 걸었다며 "대통령은 당연히 화가 났다. 수십억 달러를 버는 대기업이 왜 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려 하느냐"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아마존의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며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40년 만에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을 기록했을 때 왜 아마존은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 보도 내용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얘기했다고 전했다. 다만, 해당 보도 내용이 트럼프 대통령과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간의 관계를 긴장시켰는지 묻는 말에는 "언급하지 않겠다"며 답변을 피했다.
레빗 대변인은 2021년 12월 로이터통신의 기사가 인쇄된 종이를 들어 보인 뒤 "아마존이 중국 선전 기관과 협력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가 업근한 기사는 아마존의 중국 웹사이트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설이 수록된 책에 대한 이용자 리뷰를 검열했다는 내용이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CNBC 방송에 출연해 "회사가 마치 관세 때문에 가격이 오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은 적대 행위"라며 "10% 관세는 대부분의 가격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가격 변화가 생긴다면 그것은 우리가 국내에서 생산하지 않는 망고 같은 상품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마존이 해당 방안 백지화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제프 베이조스는 아주 좋은 사람"이라며 "그는 문제를 빠르게 해결했다. 그는 옳은 일을 했다"고 말했다.
한편, 아마존의 경쟁업체인 테무와 쉬인은 최근 상품 가격과 함께 '수입 비용'을 별도로 표기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미국의 무역 정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미국 소매업체들도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최대 145%의 관세로 인해 수입 물량을 줄이거나 배송을 연기하는 등 영향을 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