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을 찾아 "노동자 권리를 확대하고 노동이 존중 받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이 있어야 노동도 있고 노동이 있어야 기업도 있다"며 "분열과 대결의 언어를 버리고 진정한 통합의 길로 나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 협약식에서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이 아닌 노동절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일하는 대한민국 노동자들의 노동 시간을 줄이고, 차별과 사각지대 없이 보호 받고 산업 전환과 기후 위기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힘쓰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정책 협약은 이 후보가 '우클릭' 정책을 다수 내놓은 만큼 노동계를 향한 표심 다지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협약서에 따르면 이 후보는 대통령 당선이 확정되면 한국노총과 정책 협의를 신속히 추진, 재임 기간 한국노총과 체결한 정책 협약 이행을 공동 추진한다. 또 대통령 취임 즉시 정책 협약 이행 점검 및 노동 사회 주요 현안 등 상호 의제를 논의하는 정례 협의체를 구성하고 재임 기간에 운영한다.
이 후보는 이어 '우클릭' 정책 논란에 대해서도 "우리 사회가 지나치게 양극단적"이라며 "제가 노동자들을 만나면 반기업이라 하고 기업인을 만나면 우클릭, 심하게는 쇼라고 이야기한다"고 말했다. 그는 "노동자들이 잘돼야 기업이 잘 되고 기업이 잘 돼야 노동자들도 살기 좋아진다"며 "필요할 때는 협력하고, 필요할 때는 싸워야 한다. 그리고 정부와 정치는 중간에서 양자를 다 포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날 오전에는 근로자의 날을 맞아 노동 분야 공약도 발표했다. 노동 공약에는 노동조합의 교섭권을 강화하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을 재추진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노란봉투법은 윤석열 정부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두 차례 폐기된 바 있다. 이와 함께 '근로자의 날' 법정 기념일 명칭을 '노동절'로 바꿔 "노동 존중의 가치를 바로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정년 연장을 사회적 합의로 추진하겠다"며 당 차원에서 추진해온 법정 정년 연장도 강조했다. 현재 당 내에서는 정년 연장 태스크포스(TF)를 설치, 법정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5세로 상향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