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이 확대 재지정된 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정체를 이어가고 있다. 대통령선거를 앞둔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집주인들은 물론 수요자들도 매수를 미루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6월 조기 대선, 7월 대출 규제 강화 등을 앞두고 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똘똘한 한 채' 수요 심화로 인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물론 서울 내에서도 양극화가 심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353건으로 전달 거래량(9708건)과 비교하면 65.4% 감소했다. 신고 기한(거래 후 한 달)이 이달 말까지 남아 있는 건들이 있어 해당 수치는 늘어날 수 있지만 현재 추세로 볼 때 3000~4000건대에 머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집값 상승을 견인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아파트의 3~4월 거래량 변동이 두드러진다. 강남구는 3월 803건에서 4월 41건으로 큰 폭으로 줄었고 서초구(436건→12건), 송파구(869건→64건), 용산구(260건→14건) 역시 같은 기간 거래가 급감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올해 2∼3월 강남권 토허구역이 해제되면서 2월 6464건, 3월 9708건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각각 88.1%, 47.7% 늘어난 수치다. 3월 기준으로는 2020년 7월(1만1139건) 이후 4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았으며 1분기(1만9376건) 기준으로도 2021년 1분기(1만3799건)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은 거래량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올해 들어 집값이 급격히 올라 가격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토허구역 재지정으로 매수세가 제한되면서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강남권 고가 아파트 매매가 줄어들면서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은 3월 13억8027만원에서 4월에는 10억7792만원으로 큰 폭 하락세를 보였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과 새 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정책 기대가 맞물리면서 하반기에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량과 집값 상승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대출 규제 시행이 예고됐고, 환율과 금리 문제 등 외부 변수가 여전한 상황인 만큼 전체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나기는 어렵다"며 "결국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심화하면서 지역별로 또 지역 내에서도 양극화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서울 시내에서도 집값 양극화는 심화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부터 지난달 28일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누적 기준 1.35% 상승했다. 특히 강남 3구는 토허구역 해제 영향으로 평균 4%대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노원구는 노원구(-0.21%), 도봉구(-0.13%), 강북구(-0.03%) 등은 집값 하락세가 이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