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기업들에 유럽·중동·동남아로 사업 확장 독려...트럼프 관세 대응

  • BOE·레노버 유럽 투자 등 검토

  • TCL·하이센스도 멕시콘 의존도 낮춰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발(發) 관세 압박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주요 국영 기술 기업들에게 유럽·중동·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해외 사업을 확장할 것을 촉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 중국 징둥팡(BOE)과 컴퓨터 제조사 레노버는 중국에 친화적인 지역으로 공격적인 확장을 검토 중인 대표적 기업이라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BOE는 홍콩에 본사를 두고 중남미와 유럽에서 생산 시설을 운영하는 TPV와 같은 회사에 투자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며, 유럽 디스플레이 브랜드 인수도 검토하고 있다.

BOE 공급업체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디스플레이 제조업체가 자본 및 기술 집약적인 프런트엔드 제조 공정의 해외 투자는 금지하고 있지만, 백엔드 모듈과 조립 부문의 해외 진출은 장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백엔드 모듈 및 조립 부문은 노동 집약적 공정으로 기술적으로 덜 까다롭다는 특징이 있다.

또 레노버는 직원들에게 올해 유럽 등 해외 시장에 집중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레노버는 사우디아라비아 전자제품 제조사 알라트(Alat)와 함께 2026년 가동을 목표로 노트북과 데스크톱 컴퓨터 생산 시설을 건설 중이다.

레노버 소식에 정통한 한 중국 기업 임원은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 현지 및 지역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럽과 아프리카로의 배송이 용이하며 잠재적으로는 미국으로도 수출할 수 있는 피난처”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중국 TV 제조사들도 멕시코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유럽,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 지역으로의 다각화를 검토 중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TCL과 하이센스 등은 오랫동안 멕시코를 북미 시장 서비스의 핵심 생산 기지로 활용해왔으나 최근에는 베트남 등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멕시코는 미국의 트럼프 관세로 중국의 우회 수출 제조기지로서의 경쟁력을 잃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다. 

다만 중국 기업들의 이같은 계획에 아직 속도가 붙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의 보이스 팬 연구 부사장은 "공급업체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 생산능력 평가를 포함한 여러 가지 비상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관세 정책이 다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 단계에서 이러한 계획을 실행하기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