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초대석] 김동호 KCD 대표 "소호은행, 소상공인 위한 새로운 서비스 제공할 것"

  • 공급망 금융, 맞춤형·지원금 연결 서비스 등 준비

  • 정책금융 연계 방식…소상공인 정책 파트너 자처

  • "축적된 신용평가 데이터 바탕으로 리스크 통제"

사진한국신용데이터
[사진=한국신용데이터]

소상공인 데이터 플랫폼으로 출발한 한국신용데이터(KCD)가 금융업에 출사표를 던졌다. 이유는 단 하나, 소상공인 서비스 영역을 금융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다. KCD가 가장 자신하는 소상공인 기반 신용 데이터를 활용하면 소상공인 금융의 사각지대를 메울 수 있다는 확신에서 시작된 도전이다.

김동호 KCD 대표는 최근 아주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소상공인을 위한 전문은행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 것 자체가 그동안 금융업에서 소상공인은 우선순위가 아니었다는 의미"라며 "KCD는 2016년부터 소상공인을 위한 서비스를 운영, 확장해왔고 은행 인가를 받는 것이 소상공인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KCD가 이끄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은 이번 제4인터넷전문은행 신규 인가 추진 과정에서 가장 많은 금융사가 참여한 진영으로 꼽힌다. 하나·우리·농협·부산은행 등 은행 4곳을 포함해 보험사, 캐피털사 등 범금융권이 소상공인 특화은행 설립에 힘을 보탠 구조다.

김 대표는 이를 두고 "소상공인 영역만큼은 KCD가 가장 잘 할 수 있다는 믿음을 많은 금융사들이 지지해줬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 결과, 소호은행 컨소시엄은 유력한 신규 인터넷은행 후보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기존 은행과 같은 사업을 할 생각은 없다"며 "다양한 파트너사가 주주사로 참여한 만큼 새로운 임베디드 금융이 탄생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임베디드 금융은 은행의 금융 서비스를 비금융기업의 플랫폼이나 서비스에 녹여서 제공하는 모델이다. 가게 판매 단말기에서 은행의 금융 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방식 등은 향후 수년간 기존 은행에서는 나올 수 없는 형태라고 봤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금융지원을 해온 시중은행과 다르게 소상공인 중심의 △공급망 금융 △맞춤형·지원금 대출 연결 △소상공인 정책금융 알리미도 소호은행이 새롭게 내놓을 서비스다. 이 같은 혁신금융은 "소상공인이 은행을 올 때는 대출을 받으러 오는 것이 아니라 돈을 구하러 오는 것"이라는 시각에서 시작됐다. 필요한 지원자금을 우선 안내하고 인공지능(AI) 시스템으로 정책금융을 연계해주는 방식으로 소상공인 정책 파트너 역할을 자처한 것이다.

그는 "소상공인은 정부·지자체 지원금을 몰라서 못 쓰는 경우가 많은데 그들에게 가장 유리한 건 대출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금을 받는 것"이라며 "1000만원이 필요하다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을 통해 300만원을 우선 매칭해주고 700만원은 소호은행에서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상공인 대출 리스크에 대해서도 김 대표는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아무도 해보지 않아서 모르는 것"이라며 "신용평가 회사인 한국평가정보(KCS)를 운영하며 모은 소상공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리스크 통제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맨땅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험하는 것"이라며 "이런 식으로 신용을 평가하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결국 금융업은 변화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