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초거대AI포럼] 거스를 수 없는 미래...에이전트·피지컬 AI 시대 위해 산·학·연 전문가 모였다

15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 제3회 초거대 AI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515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콘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 제3회 초거대 AI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양기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형규 뱅골프 대표이사, 이용재 국제금융센터 원장,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 윤성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임규진 아주경제 사장,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이사,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사업실장, 성준식 크래프톤 응용 딥러닝 실장, 최충환 아주뉴스 실리콘밸리본부 대표. 2025.05.15[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글로벌 인공지능(AI) 트렌드가 에이전트 AI 시대에 진입한 가운데, 한국의 기술적 강점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기술적 제언을 공유하는 장이 열렸다.
 
15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콘퍼런스홀에서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3회 초거대 AI포럼’은 ‘SW로봇, 에이전트 AI에 생명을 불어넣다’는 주제로 각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AI 기술이 가져올 무한한 가능성과 혁신, 그리고 한국형 AI의 발전 방향 등을 논의했다.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축사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를 과거 기계와 제조업 시대의 플러스 알파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에 기반한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진정한 인공지능 대한민국을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강 차관은 에이전트 AI 시대에서 국가의 역할을 두고 "국가가 해야 하는 것은 여러 포트폴리오 속에서 기업을 새롭게 특화시키고, 학계가 도전할 만한 장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 차관의 뒤를 이어 ‘에이전트 AI의 미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맡은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에이전트 AI를 “인류가 AI를 활용하는 모든 방식과 수단”으로 정의했다.
 
그는 “AI 에이전트는 사람의 본질적 의사결정까지 개입하게 될 것”이라며, 기업 영역에선 모든 업무 현장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에이전트 AI 산업의 미래를 두고는 “향후 몇 년간은 제한된 시간 내에 이용자를 최대한 모으기 위한 속도전이 이어질 것”이라며, 성공적인 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생산성이 뛰어난 AI, 콘텐츠가 풍부한 AI, 정서적 유대를 만드는 AI 등 3가지를 제시했다.
 
이어지는 주제 강연에서는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부사장, 윤영상 SK텔레콤 AI사업운영본부장, 성준식 크래프톤 응용 딥러닝 실장이 강연자로 나서 모빌리티·정보통신·게임에 적용된 에이전트 AI의 사례와 각 기업의 미래 전략을 소개했다.
 
토론회에서는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윤성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최재식 카이스트 AI대학원 교수,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 김태호 뤼튼테크놀로지스 공동창업자(이사)가 에이전트 AI 시대의 개인정보 보안, 한국의 에이전트 AI와 피지컬 AI 활용 방안, 에이전트 AI 시대를 위한 정부와 정치권의 역할을 주제로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