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박지영 특검보는 정례브리핑에서 "(이 전 장관에 대해)어제 영장 청구했고 심문은 목요일 오후 2시로 잡혀있다"며 "구속심문 대비해서 저희도 준비 잘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영장 심사 전 추가로 국무위원을 피의자로 소환하느냐는 질문에 "없을 것 같다"고 잘라 말했다.
박 특검보는 박성재 전 법무부장관에 대한 소환조사 여부를 두고는 "특별히 박 전 장관에 대해서는 소환 계획 있거나 소환 했거나 하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필요에 따라서 할 수도 안할수도 있다. 지금 단계에서 소환을 언제 계획하고 있다 말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다.
그는 의무없는 일을 하게했다는 것이 위법한 일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단전·단수라고 하는 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그래서 기본적으로 행정안전부라고 하는 건 이름에도 알 수 있듯이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 관장 사무를 하는 곳이고, 생명을 보호해야 하는 그런 직무에 있는 상황"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12월 3일이다. 엄청 추울 때다. 이게 지금 실현화되지 않았던 것이지 실제 실현됐다 하면 추위에 어떤 일이 어떻게 발생했을지 아무도 모르는 일"이라며 "이런 관점에서 지시가 위법한 것이냐 이런 건 별도로 판단할 필요는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한덕수 전 총리 수사와 관련해서는 "이미 압수수색을 했고 관련된 자료 분석 중에 있다. 핸드폰 포렌식도 진행 중이다. 그 부분이 상당히 시간이 걸린다"며 "누가 참여하는지에 따라서 일정 조율 해야 한다. 그 부분에 있어서도 시간이 소요된다. 압수물 분석만 하는 건 아니고 압수물을 저희가 받아 압수물 자체 분석하는 과정에서 추가 확인 필요 있으면 관련 추가 조사도 하고 그런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전 장관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진 삼청동 안가회동 수사를 두고는 "거기서 어떤 말이 오갔는지에 대한 조사가 이뤄져야 될 거 같다"며 "거기서 증거인멸 행위가 있었는지, 회동 후에 내란 사태가 벌어지고 그 다음에 벌어진 간단한 친목 모임이었는지에 대한 조사도 이뤄져야 한다. 현 단계에서 그런 구체적인 사실 관계가 아직 확인이 안됐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