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소재 MG손해보험 본사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5/18/20250518145237720638.png)
금융당국이 영업이 일부 정지된 MG손해보험의 보험금 지급이 원활한지 살펴보기 위해 현장점검에 돌입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예금보험공사는 서울 역삼동 MG손보 본사와 지역 MG손해보험 주요 지점, 보상센터 등에 인력 70여 명을 투입해 점검을 진행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MG손보의 보험금 지급 운영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현장점검 중"이라며 "현재까지 보험료 지급이 이뤄지지 않은 사례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점검 기간은 특정되지 않았고, 특별한 상황 없이 업무가 돌아가는 것을 확인하면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MG손보에 일부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고, 가교보험사를 설립해 계약을 이전·관리하겠다고 결정했다. 가교보험사로 이전된 계약들은 2026년 말까지 5대 손해보험사(삼성화재·DB손보·현대해상·KB손보·메리츠화재)로 조건 변경 없이 이전된다. 우선 당국은 이달 중 5대 손보사와 공동경영협의회를 개최한 뒤 2~3분기 중 가교보험사로 1차 이전을 끝낼 방침이다.
문제는 구조조정에 대한 MG손보 노동조합 반발을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것이다. 업계는 MG손보의 계약이 가교보험사로 이전되면 보상·운영 등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인력 10%를 제외한 나머지는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말 MG손보 전체 임직원이 521명임을 고려하면 500명에 육박하는 직원이 일자리를 잃는 셈이다.
이에 노조는 계약 이전 과정에서 발생할 인력 구조조정을 막기 위해 총파업 등 대응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또한 다음 주 직원 설명회와 운영위원회를 열고 향후 대응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다. 사무금융노동조합 관계자는 "임직원 한 명이라도 더 살릴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총파업으로 갈지, 태업이나 결기대회 수준에서 끝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노조는 MG손보 정상 매각을 추진하기 위해 정치권과도 접촉하고 있다.
다만 업계는 MG손보 노조의 반발에도 당국 결정은 뒤집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규모 구조조정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당국 입장에서도 지급여력비율(K-ICS)이 4.1%까지 떨어진 MG손보를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는 것이란 관측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당국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계약자 121만명을 보호하는 것"이라며 "노조가 주장하는 것처럼 대선 이후에 가교보험사에 대한 논의를 다시 한다고 해도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