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후루 가게보다 '폭싹 속았수다' 많아져야"…한은 서비스수출 강조

  • 서비스 수출 증가세 韓 경제에 기회 제공

  • 일자리 82.5% 수출로 유발…절반은 서비스수출

  • 특히 미국서 한국 생산자 서비스 수요 급증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탕후루 가게가 많이 생겨도 가게 직원 외에 늘어나는 취업자는 많지 않지만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제작하려면 제작자 외에도 출연자, 매니저, 카메라, 조명, 소품 제조업자, OTT 운영·관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가 상당히 많다."

한국은행이 19일 서비스 수출 증가세가 한국 경제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고부가가치의 서비스 수출이 늘면 국내에서 질 좋은 일자리가 생기고 미래 성장 기반도 탄탄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은 경제통계2국 투입산출팀 박영진 과장과 강인성 조사역은 이날 한은 블로그에서 "서비스 수출 증가 움직임이 국내 취업자 수 확대를 통해 고용시장 질적 개선과 안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서비스 수출은 공산품이 아닌 운송, 관광, 통신, 금융, 보험, 기술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수출하는 것을 말한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우리나라 수출 중 서비스 비중은 2023년 15.7%까지 높아졌고 서비스 수출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도 점차 커지고 있다. 2020년 대비 2022년 국내 취업자 수 증가분 99만6000명 중 82.5%가 수출로 유발됐다.

이 중 서비스 수출이 50.9%, 공산품 수출이 31.3%를 차지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 내수 부진에 의한 국내 고용시장 악화 압력을 서비스 수출이 상당 부분 완화하는 역할을 한 셈이다.

특히 생산자 서비스 중 정보기술(IT)이나 콘텐츠 관련 서비스 수출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해당 부문 서비스 수출로 유발된 취업자 수는 2020~2022년 연평균 70% 이상으로 가파르게 증가해 같은 기간의 전체 서비스 수출(15.1%)이나 공산품 수출(4.8%)을 크게 앞섰다.

또한 고학력, 고숙련, 상용직은 물론 청년층 비중도 높아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수요 증가에 따라 다른 부문에서 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 역시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수출 상대국은 우리나라 서비스 상품 중 운송과 생산자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송 서비스에는 화물 운송과 여객 운송이, 생산자 서비스에는 IT·콘텐츠 관련 서비스가 각각 대표적으로 포함된다.

특히 미국에서 우리나라 생산자 서비스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서비스의 최종 수요에 따라 국내에서 유발된 취업자 수는 2022년 기준으로 중국이 23만4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6만3000명), 일본(2만9000명) 등의 순이었다.

한은은 "생산자 서비스에 대한 해외의 수요 잠재력이 상당해 중국, 미국 등 주요 국가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 공략의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어 "고부가가치 서비스 수출에 대한 투자와 직업교육 제공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