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어스온, 인도네시아 유망 광구 2곳 확보…동남아 석유 클러스터 완성

  • 세르팡·비나이야 광구…분배 계약 체결 통해 광권 공식 확보

  • 3년간 탐사 작업…업스트림 투자 확대도 지속 검토

SK이노베이션의 광구 자료사진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의 광구 자료사진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의 에너지 자원 개발 자회사 SK어스온이 주요 산유국인 인도네시아에서 유망 광구 2곳의 개발권을 확보하며 동남아 에너지 클러스터링 전략에 본격적인 탄력이 붙었다.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에 이어 인도네시아까지 진출함으로써 동남아 3대 산유국을 아우르는 사업 지도를 완성했다.

SK어스온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발주한 ‘2024년 2차 원유·가스 자원개발 사업 경쟁입찰’에서 자바섬 인근 세르팡 광구와 말루쿠 제도 인근 비나이야 광구를 낙찰받았다고 22일 밝혔다.

또 지난 20~22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석유·가스 산업 전시회 ‘IPA 컨벡스 2025’에서는 인도네시아 석유·가스관리청(SKKMigas)과 이들 2개 광구에 대한 생산물 분배 계약을 체결해 광권을 공식 확보했다.

계약에 따라 SK어스온은 탐사 및 개발에 필요한 자금과 위험을 부담하고, 원유 및 가스 생산 시 인도네시아 정부와 일정 비율에 따라 생산물을 나누게 된다. 두 광구 면적은 각각 약 8500㎢로, 서울의 약 14배에 달하는 규모다.

세르팡 광구는 인도네시아 내에서도 가장 유망한 유전 지역 중 하나로, 인근 다수 광구에서 이미 원유와 가스가 생산되고 있다. SK어스온은 해당 광구의 지분 14%를 보유하며, 나머지는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나스(51%)와 일본 최대 자원 개발 기업 인펙스(35%)가 나눠 갖는다.

비나이야 광구는 동인도네시아 지역에서 탐사 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 중 하나로, SK어스온은 이 광구의 22% 지분을 보유한다. 페르타미나(56%)와 페트로나스(22%)가 함께 참여하고 있다.

SK어스온은 향후 3년간 두 광구에서 지질 분석, 탄성파 탐사 등 정밀 탐사 작업을 수행하고 시추 가능한 구조를 발굴해나갈 계획이다.

일부 외신에 따르면 세르팡 광구의 미발견 원시 부존량은 원유 12억 배럴, 가스 6조3000억 입방피트(ft³)로 추산된다. 비나이야 광구는 원유 67억 배럴, 가스 15조 ft³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질학적 분석과 모델링 등을 기반으로 추정된 수치다.

이번 인도네시아 진출로 SK어스온은 베트남, 말레이시아에 이어 동남아 석유·가스 사업의 핵심 국가를 잇는 '클러스터링 전략'을 완성하게 됐다. SK이노베이션은 ‘기회의 땅’으로 부상하는 인도네시아 지역에 대한 업스트림 분야 투자를 지속 검토하고 있으며, E&S 부문은 인도네시아 석유·가스관리청과 CCS(탄소 포집·저장) 공동 연구 협력 방안도 모색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