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24(2020=100)로 전월보다 0.1% 떨어졌다. 지난해 10월(-0.1%) 하락한 이후 6개월간 상승하다가 지난달 하락으로 돌아선 것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전월보다 1.5% 하락했다.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농산물(-5.8%)과 수산물(-0.7%) 가격이 모두 내린 영향이다. 품목별로는 양파(-15.8%), 오이(-35.1%) 등 채소류와 기타어류(-5.8%) 가격이 큰 폭 하락했다. 반면 축산물은 돼지고기(8.2%)와 달걀(11.4%)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월 대비 4.8% 올랐다.
이문희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지난달에는 기온과 일조 시간, 강수량 등의 생육 여건이 양호해지면서 출하량이 늘어 농산물 가격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산업용 도시가스(5.2%) 가격이 오르며 0.4% 상승했다.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6%)와 운송서비스(0.1%) 가격이 오르면서 서비스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지난달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원재료(-3.6%)와 중간재(-0.4%), 최종재(-0.1%)가 모두 내리면서 전월 대비 0.6% 하락했다. 7개월 만에 하락 전환이다.
이 팀장은 "4월은 환율이 전월 대비 하락하면서 환율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며 "5월 들어 두바이유 가격이 전월 대비 6% 내외로 하락했는데, 이 흐름이 월말까지 지속되면 5월에도 생산자물가 및 국내공급물가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총산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하락했다. 서비스(0.2%)가 올랐으나, 농림수산품(-1.4%)과 공산품(-0.6%)이 내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